본문 바로가기
전통제조업, 유연생산으로 탈바꿈 해야
김진성 기자|weekendk@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전통제조업, 유연생산으로 탈바꿈 해야

포스코 경영연구원 “대량생산 중심 사고방식 탈피 필요”

기사입력 2016-04-07 07:17: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전통제조업, 유연생산으로 탈바꿈 해야


[산업일보]
미래 제조업의 트렌드가 개별 소비자 맞춤 생산까지 확대되면서 유연생산체계(Flexible Manufacturing)에 대한 관심도 급부상하고 있다.

포스코 경영연구원의 김영훈 수석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전통 제조업 부활의 Key, 스마트 유연생산’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국내 제조업의 부활을 위해서는 유연생산 체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했다.

유연생산체계란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한 유연성을 갖는 제조시스템으로, 자동차 산업 등은 고객니즈 다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오랫동안 유연생산을 확대해 왔으며, 최근에는 대량생산·고정설비로 대변되는 화학·기계 등 전통 제조산업에서도 생존차원에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산업인터넷, 다기능 로봇, 빅데이터 기술 등으로 부품 식별능력 향상, 공정 신속 변환 및 셋업비용이 크게 절감되면서 스마트 유연생산체제가 확산되고 있으며, 유럽에서 추진 중인 전통제조업 스마트 유연생산의 대표사례로 ‘F3 (Flexible·Fast·Future) 팩토리’와 ‘디지털 도제(APPsist)’ 사업을 들 수 있다.

‘F3 팩토리’는 화학산업에서 설비를 모듈화하고 고객니즈에 맞춰 레고블럭을 조립하듯이 생산라인을 구축한다는 스마트팩토리 사업으로 화학산업의 주도권이 아시아로 넘어갈 것이라는 위기의식에서 출발됐다.

프로세스 산업에서 생산설비는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고정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설비모듈화 개념을 도입해 2009년부터 생산유연성이 강화된 7개의 모듈화 연속공정(Continuous Modular Production) 테스트베드를 가동했다.

‘디지털 도제’는 기계분야 숙련공의 노하우를 디지털화하고 플랫폼을 구축하는 한편, 작업자 니즈에 맞춰 모듈단위로 서비스하려는 독일의 제조혁신 사업을 일컫는다.

독일의 핵심생산인구 비중이 급감하면서 제조경쟁력의 핵심요소였던 도제(Apprentice) 시스템에도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노사정 공감대에서 시작된 디지털 도제는 다양한 직무변화에도 미숙련 근로자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목표이며, 2014년부터 대중소기업에 특화된 3개의 테스트베드를 가동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유럽사례의 시사점은 노사정이 대량생산 한계, 생산인구 감소 등의 현실을 공감하고 스마트 유연생산 관점에서 제조혁신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우리나라 제조업은 중국과 독일 사이에서 넛크랙커(Nut Cracker) 상황에 있으며,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대량생산 중심의 사고방식을 탈피하고 스마트 유연생산에 대한 마스터플랜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덧붙여 그는 “독일은 스마트 유연생산의 수요를 자국 내에 확산함과 동시에 관련 기술과 설비를 수출하기 위해 공급산업을 육성하는 이원화 전략을 추진했다”며, “중국은 현재 대량생산 시장에서 절대적인 경쟁우위에 있지만, 유연생산 체계를 계속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 GO
안녕하세요~산업1부 김진성 기자입니다. 스마트공장을 포함한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 3.0을 관심깊게 살펴보고 있으며, 그 외 각종 기계분야와 전시회 산업 등에도 한 번씩 곁눈질하고 있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추천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