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고, 인공지능(AI) 연계 특화교육 프로그램 '서울대·카이스트·삼성전자'와 협업
구미전자공고 '지능형반도체', 전북기계공고 '지능형로봇', 부산기계공고 'AI 팩토리'
기사입력 2019-12-04 18:36:37
[산업일보]
내년부터 구미전자공고는 지능형반도체, 전북기계공고는 지능형로봇, 부산기계공고는 AI 팩토리 분야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내년부터 이들 3개 국립공고에서 인공지능(AI)와 연계한 특화교육 프로그램을 최초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국립공고는 산업계 수요를 반영해 전자·전기·기계 등 전공 분야별로 인재를 양성해왔으나, 기술·산업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이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편, 전문 강사진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중기부는 AI 등 신산업 분야 전문성이 있는 서울대, 카이스트, 삼성전자를 국립공고와 연결해 특화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각 국립공고는 학교별 전공을 고려해 특화교육 분야를 선정했다. 학교별 교육과정은 관련 장비 활용과 기초설계, 제품 검증 등 국립공고 학생들이 졸업한 뒤 맡게 될 직무까지 생각해 구성하기로 했다.
AI특화교육은 2~3학년 학생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방과 후 및 방학 중 시간을 활용한 비정규 과정으로 운영된다. 서울대·카이스트·삼성전자는 교육과정 기획부터 교사·학생 대상 교육, 학생 현장실습·견학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각 학교가 세부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단계부터 참여해 특화분야 교육과정의 적정성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그 이후, 교사·학생 대상으로 AI 전반에 대한 특강, 특화 분야별 세부기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서울대는 AI 전반 및 로봇, KAIST는 반도체, 삼성전자는 AI 팩토리 분야를 지원한다.
학생들의 현장실습·견학을 위해 국내외 현장실습 우수기업 추천연계, 대학 내 관련 연구실 탐방 등도 지원한다. 중기부는 특화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취업한 국립공고 학생들이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졸업 시점에 맞춰서 학교별 특화교육과정과 연계한 중소기업 계약학과를 신설·운영할 계획이다.
중기부 원영준 성장지원정책관은 “국립공고 AI특화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현장의 신산업 분야 인력부족 애로를 조금이나마 완화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내년 시범 운영 후 정규교육과정으로의 편입을 검토하는 등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구미전자공고는 지능형반도체, 전북기계공고는 지능형로봇, 부산기계공고는 AI 팩토리 분야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내년부터 이들 3개 국립공고에서 인공지능(AI)와 연계한 특화교육 프로그램을 최초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국립공고는 산업계 수요를 반영해 전자·전기·기계 등 전공 분야별로 인재를 양성해왔으나, 기술·산업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이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편, 전문 강사진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중기부는 AI 등 신산업 분야 전문성이 있는 서울대, 카이스트, 삼성전자를 국립공고와 연결해 특화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각 국립공고는 학교별 전공을 고려해 특화교육 분야를 선정했다. 학교별 교육과정은 관련 장비 활용과 기초설계, 제품 검증 등 국립공고 학생들이 졸업한 뒤 맡게 될 직무까지 생각해 구성하기로 했다.
AI특화교육은 2~3학년 학생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방과 후 및 방학 중 시간을 활용한 비정규 과정으로 운영된다. 서울대·카이스트·삼성전자는 교육과정 기획부터 교사·학생 대상 교육, 학생 현장실습·견학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각 학교가 세부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단계부터 참여해 특화분야 교육과정의 적정성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그 이후, 교사·학생 대상으로 AI 전반에 대한 특강, 특화 분야별 세부기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서울대는 AI 전반 및 로봇, KAIST는 반도체, 삼성전자는 AI 팩토리 분야를 지원한다.
학생들의 현장실습·견학을 위해 국내외 현장실습 우수기업 추천연계, 대학 내 관련 연구실 탐방 등도 지원한다. 중기부는 특화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취업한 국립공고 학생들이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졸업 시점에 맞춰서 학교별 특화교육과정과 연계한 중소기업 계약학과를 신설·운영할 계획이다.
중기부 원영준 성장지원정책관은 “국립공고 AI특화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현장의 신산업 분야 인력부족 애로를 조금이나마 완화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내년 시범 운영 후 정규교육과정으로의 편입을 검토하는 등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시환 기자 psh@kidd.co.kr
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많이 본 뉴스
추천제품
1/8
-
[신품] 레이저용접기,클리닝 레이저 마킹기
-
[신품] 분말스틱포장기 KL-8688 (분말/과립/환)
-
[신품] 진공건조기, 진공건조시스템, 건조기, 협의
-
[중고] 스카이잭 SJ4626 10미터 작업용
-
[신품] 테이프의모든것!! 리더스테이프가 정답
-
[신품] 모듈러앵글헤드 TOOL 6파이 ~ 32파이용
-
[신품] 에프론400키로 쇼트기계 22,000,000 원
-
[중고] 전자 디버링머신 모델 QV-X606
-
[신품] HITACHI 잉크젯 RX2-BD160S
-
[신품] AirFoil Fan(에어포일팬) 송풍기 주문제작
-
[신품] 고해상 육안 검사시스템,현미경 협의
-
[신품] 팽창흑연가스켓 yJ40-GK
-
[신품] 고/저점도 액상용 스틱포장기 3,500,000 원
-
[신품] 국내정상 랙가공전문 30여년의 전문화된 기술력
-
[중고] 분광휘도계 색채휘도계 색차계
-
[신품] 친환경 슈퍼알칼리 이온수 (eWASH)생성기
산업부동산
가상화폐 시세

₩
%
₩
%
₩
%
Provided by 

지식산업센터 분양정보
기업뉴스
많이 본 뉴스
- 2020년 LNG선 발주 규모, 2018년 넘어선다
- [모바일 On] 아이폰SE2, 예상보다 큰 6.1인치 디스플레이 채택될 수도 있어
- 영국, 애플페이·구글페이 등 ‘비접촉식 결제’ 확산
- [2019 산업계 10대 이슈] 2020년 최저임금 8천590원…전년 대비 2.98% 인상
- 주눅 든 국내 산업 전시회, 생기 불어넣을 방법은? (下)
- “미세먼지 고농도 시즌 중국 영향 70%…농도자료 공유만으로 근본적 저감 한계”
- 소재·부품·장비 분야 강소기업 55개사 선정
- [2019 산업계 10대 이슈] 일본, 한국 반도체 관련 소재 수출 규제 및 화이트리스트 제외
- 이미지센서 시장, 반도체 시장 부진 속에도 고속 성장세
- 프랑스 ‘디지털세 도입’vs미국 ‘보복 관세 부과’…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