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등 중동을 둘러싼 긴장감, 국제유가는 어떻게 변하나?
‘해협봉쇄’ 등의 극단적 형태로 치닫지는 않을 것…하향 안정화 가능성 높아
기사입력 2020-01-09 10:18:35
[산업일보]
이란의 솔레이마니 사령관이 미국에 의해 암살되며 지정학 위험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기준 WTI는 6달러/배럴까지 상승했다.
유진투자증권의 ‘이란 사태로 국제유가 얼마나 오를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이란과 인접한 이라크, 아프가니스탄과 전쟁을 하면서도 이란과의 무력충돌을 피해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사태는 상당히 이례적인 경우다.
일각에서는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의 상당수는 국제적으로 고립된 이란이 이번 사건을 자국에 유리한 명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고 판단해 해협 봉쇄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유도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정학 위험(변동성에 영향)으로 국제유가가 단기에 상승한 것은 사실이나, 원유 시장의 수급(평균에 영향)도 유가 상승에 영향을 줬다. 12월말 기준 글로벌 일평균 원유수요는 1억259만 배럴, 공급은 1억19만 배럴로 여전히 수급은 타이트한 상황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OPEC의 감산량이 일산 170만 배럴로 50만 배럴 확대됐고, 수요는 전년대비 2.3%나 증가해 10월 저점(54달러/배럴)에서 16.7% 상승했다.
미국의 원유 생산량은 일산 1천285만 배럴로 늘어나 글로벌 공급의 13%(+1.2%p 전년대비)를 차지하고 있다. 2020년 하반기까지 원유 수송 파이프라인의 순차적인 완공, 원유 선박 접안시설의 정상 가동 시, 생산량은 1천400만 배럴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2020년 오일 메이저의 독립계 E&P자산 인수 활성화, CAPEX 증가로 이어져 미국의 공급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 하반기로 갈수록 수급밸런스 악화, 유가 약세가 예상된다.
유진투자증권의 황성현 연구원은 “현재의 상황이 1달간 지속될 시, 원유재고는 1만950만 배럴 감소해 WTI는 43~71달러/배럴(기존 50~62 달러)로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한 뒤, “그러나 평균으로 회귀하는 Commodity 특성을 고려하면 결국에는 평균 59달러/배럴로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란의 솔레이마니 사령관이 미국에 의해 암살되며 지정학 위험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기준 WTI는 6달러/배럴까지 상승했다.

유진투자증권의 ‘이란 사태로 국제유가 얼마나 오를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이란과 인접한 이라크, 아프가니스탄과 전쟁을 하면서도 이란과의 무력충돌을 피해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사태는 상당히 이례적인 경우다.
일각에서는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의 상당수는 국제적으로 고립된 이란이 이번 사건을 자국에 유리한 명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고 판단해 해협 봉쇄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유도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정학 위험(변동성에 영향)으로 국제유가가 단기에 상승한 것은 사실이나, 원유 시장의 수급(평균에 영향)도 유가 상승에 영향을 줬다. 12월말 기준 글로벌 일평균 원유수요는 1억259만 배럴, 공급은 1억19만 배럴로 여전히 수급은 타이트한 상황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OPEC의 감산량이 일산 170만 배럴로 50만 배럴 확대됐고, 수요는 전년대비 2.3%나 증가해 10월 저점(54달러/배럴)에서 16.7% 상승했다.
미국의 원유 생산량은 일산 1천285만 배럴로 늘어나 글로벌 공급의 13%(+1.2%p 전년대비)를 차지하고 있다. 2020년 하반기까지 원유 수송 파이프라인의 순차적인 완공, 원유 선박 접안시설의 정상 가동 시, 생산량은 1천400만 배럴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2020년 오일 메이저의 독립계 E&P자산 인수 활성화, CAPEX 증가로 이어져 미국의 공급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 하반기로 갈수록 수급밸런스 악화, 유가 약세가 예상된다.
유진투자증권의 황성현 연구원은 “현재의 상황이 1달간 지속될 시, 원유재고는 1만950만 배럴 감소해 WTI는 43~71달러/배럴(기존 50~62 달러)로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한 뒤, “그러나 평균으로 회귀하는 Commodity 특성을 고려하면 결국에는 평균 59달러/배럴로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진성 기자 weekendk@kidd.co.kr
안녕하세요~산업1부 김진성 기자입니다. 스마트공장을 포함한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 3.0을 관심깊게 살펴보고 있으며, 그 외 각종 기계분야와 전시회 산업 등에도 한 번씩 곁눈질하고 있습니다.
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주요기사
- [카드뉴스] '코로나 공존시대' 핵심 화두는? 디지털 가속화·그린딜·내수시장 활성화
- [카드뉴스] 클라우드AI 단점 보완할 엣지AI, 도대체 넌 누구니?
- LSD테크(엘에스디테크), ‘디지털 뉴딜’ 선도하는 기술 위주 강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
- [사진으로 보는 산업뉴스] 굳게 닫힌 코엑스 전시장
- [모바일 On] 애플 아이폰12, 이르면 9월에 모습 드러낸다
- 코로나19 연일 확산세…반도체 업황 불안까지 더해져 타격 예상
- [단독] 더 테크(THE TECH), 코로나19 증가세 확산에 ‘개최 취소’로 가닥 잡아
- [기자수첩] 해도 문제, 안 해도 문제, 골머리 앓는 전시업계
많이 본 뉴스
추천제품
1/8
-
[신품] 팽창흑연가스켓 yJ40-GK
-
[신품] 진공건조기, 진공건조시스템, 건조기, 협의
-
[신품] 소형탭핑머신, 오토매틱탭핑기계. 탭핑머신, 탭핑기, 탭핑기계 협의
-
[신품] 측정운반차 GO-100
-
[신품] 피로방지매트 600*900MM 근골격계질환 예방
-
[신품] 무세제세척기, 세척기, 이온수 (eWASH)생성기
-
[신품] 고해상 육안 검사시스템,현미경 협의
-
[신품] 자동포장기계,삼면포장기 제작전문 썬팩코리아 !!
산업부동산
가상화폐 시세

₩
%
₩
%
₩
%
Provided by 

기업뉴스
많이 본 뉴스
- 디스플레이 업체들, 하반기 삼성디스플레이 OLED 증설에 기대
- 애플, 위탁생산 형태로 ‘애플카’ 선보이나?
- DRAM가격, 연내 최대 40% 상승한다
- 수주 이어지는 조선시장, 공급자가 ‘갑(甲)’되는 시대 도래한다
- 중국 철강 산업 5개년 규획, 철강 수급 조인다
- 정체된 정비구역 8곳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 시멘트 산업, 친환경 정책 영향 순환자원 관련 투자 지속 전망
- ‘포승~평택 단선철도’ 항만시설용부지 ·항만배후단지 696만2천㎡
- 헨켈(Henkel), 선더호프 기술력으로 ‘전기차 배터리 하우징’ 씰링 선도
- [물류자동화]제이씨시스템스, 수직 리트프 스토리지 시스템 도입시 ‘가시적 효과’ 커…경기침체로 활성화될지는 ‘미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