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7월 하순 중국의 주요 철강사 일평균 조강생산량은 중순 대비 -2.4%로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가운데, 최근 11개 성(省)이 중국 정부로부터 조강생산량을 2020년 수준으로 유지하라는 구두 명령을 받은 영향일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의 ‘의심 받게 된 중국 철강 감산 강도’ 보고서에 따르면, 철광석 현물가격은 180달러 초반까지 7월 20일 대비 18% 가량 급락하기도 했는데, 이 기간 중국 철강 내수가격은 2.5~3% 가량 상승세를 보이며 원가 요인보다 수급 요인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지난 주말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지방정부들의 탄소 배출 감축이 캠페인 스타일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논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 신화통신은 일부 지방정부들이 탄소 감축 계획을 무리하게 추진함에 따라 정상적인 경제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는 최근 중국 경기 모멘텀 둔화 조짐에 더해 과거 에너지 소비와 탄소 집약도 목표 달성을 위해 지방정부들이 연말 전력을 끊어버리는 등 부작용을 초래한 경험이 있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수준의 조강생산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반기 5천 만 톤 이상의 감산이 필요한 상황이었으나 감산 규모가 이보다는 축소될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중국 정부가 철강 감산을 추진하면서 내수가격을 최대한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은 수출을 제한하고 그 물량을 내수로 돌리는 것이다.
지난 5월 철강 수출 증치세(13% 가량) 환급 폐지에 이어 최근 당시 제외 품목이던 냉연도금재까지 8 월부터 환급을 폐지하기로 했다. 또한 최근에는 열연을 포함한 철강재에 10~25% 수출세를 부과 방안이 3 분기 내 시행될 것이라는 루머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유진투자증권의 방민진 연구원은 “이와 같은 수출 제한 조치의 확대 적용은 중국 감산 규제 강도가 다소 약화되더라도 역내 수급을 타이트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