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2@
@IMG3@
@IMG4@
@IMG5@
@IMG6@
@IMG7@
@IMG8@
[산업일보]
국제연합(UN)이 올해를 ‘세계기초과학의 해’로 지정했습니다. 한국은 UN을 지지하며 지난 2월 추진위원회를 꾸렸고, 각 정부부처에서 다양한 기초과학 관련 행사를 계획하고 있죠.
기초과학은 순수한 지적 호기심으로 자연 또는 학문의 진리를 탐구하는 순수과학이기도 하지만, 공학이나 응용과학의 밑바탕이 되는 지식이자 기술로써 중요한 가치를 가집니다.
지난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사태는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일깨운 일화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한국은 소재·부품·장비 제조에 필요한 핵심 재료를 국산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죠.
수입하던 소부장을 국산화하려면 ‘기술 독립’이 필요합니다. 이때 기초과학이 없다면 온전한 기술 독립을 이룰 수 없습니다. 이처럼 기초과학은 제조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의 핵심 기술을 만드는 토양이자 뿌리로 역할을 합니다.
무엇이든 기본, 기초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산업계를 위해, 어느 때보다도 기초과학에 대한 응원과 지원이 절실한 때입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
[산업일보]
국제연합(UN)이 올해를 ‘세계기초과학의 해’로 지정했습니다. 한국은 UN을 지지하며 지난 2월 추진위원회를 꾸렸고, 각 정부부처에서 다양한 기초과학 관련 행사를 계획하고 있죠.
기초과학은 순수한 지적 호기심으로 자연 또는 학문의 진리를 탐구하는 순수과학이기도 하지만, 공학이나 응용과학의 밑바탕이 되는 지식이자 기술로써 중요한 가치를 가집니다.
지난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사태는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일깨운 일화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한국은 소재·부품·장비 제조에 필요한 핵심 재료를 국산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죠.
수입하던 소부장을 국산화하려면 ‘기술 독립’이 필요합니다. 이때 기초과학이 없다면 온전한 기술 독립을 이룰 수 없습니다. 이처럼 기초과학은 제조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의 핵심 기술을 만드는 토양이자 뿌리로 역할을 합니다.
무엇이든 기본, 기초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산업계를 위해, 어느 때보다도 기초과학에 대한 응원과 지원이 절실한 때입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