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수준의 창업생태계…민간의 역할과 책임 중요해
김원정 기자|sanup20@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글로벌 수준의 창업생태계…민간의 역할과 책임 중요해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해야

기사입력 2022-06-27 08:11:4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글로벌 수준의 창업생태계…민간의 역할과 책임 중요해

[산업일보]
국내 창업생태계가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업 차원에서 적극적인 역할 모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발행하고 김진수 중앙대학교 명예교수와 황인호 국민대학교 교수가 공동 작성한 ‘혁신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제’ 보고서는 국내 창업생태계가 정부 주도의 벤처창업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양적·질적 측면에서 높은 성과를 거뒀지만 글로벌 수준으로 발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극복하고 국내 창업생태계가 선진화 수준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보고서는 다양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민간 기업의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투자 확대를 통한 스타트업 성장 지원 ▲스타트업 M&A 활성화 ▲기업과 스타트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강화 ▲스타트업과 기업의 판로 연계 확대 ▲민간 주도의 업종별 맞춤형 창업교육과 인재양성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기업 주도의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정책적으로도 세제 혜택, 예산 지원 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6일 ‘제1차 산업기술 CTO 라운드테이블’을 열고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역동적 경제 구현을 위한 ‘새 정부의 산업기술 혁신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제조기업 강국이 되는 그날까지, 공장자동화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뉴스를 기획·심층 보도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추천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