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과 함께 진행 중인 ‘산업대전환’을 위한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6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EC룸에서 ‘제1차 산업대전환 포럼 좌장회의’를 개최하고, 포럼의 6개 분과 좌장들과 함께 산업대전환의 필요성과 정책 및 대응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6개 분과의 좌장들과 마주한 산업부 이창양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한국 경제는 경제 강국 도약 또는 제로 성장의 갈림길에 놓였다”면서 불안정한 대내외 경제 기조와 국내 투자 및 인력 감소, 혁신 정체 등의 어려운 상황을 언급했다.
이어 문제 해결을 위해 “근본적이고 경제와 사회 전체의 판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지혜가 필요하다”면서 “산업대전환이라는 이름으로 위기 극복을 위한 혁신 아이디어를 모으고자 한다. 발굴한 아이디어는 국가 차원에서 관계부처와 함께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말 민간 경제단체를 중심으로 산·학·연 관계자 100여 명이 모여 출범한 산업대전환 포럼은 2000년대 이후부터 한국의 산업이 ‘잃어버린 20년’에 빠져있다고 진단했다.
새로운 먹거리 창출 실패로 기존 10대 품목 중심의 수출 및 생산구조가 고착화했다는 판단이다. 최근엔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를 제외한 주력 상품 대부분이 후발주자인 중국의 추격에 직면했고, 주력 수출시장인 대(對)중 무역수지는 2018년부터 지속 감소세에 있다.

이와 함께 우려되는 10년 뒤 위기의 징후는 ▲인구 오너스(부양인구>생산연령인구 상황으로 경제성장 지체) ▲국내투자 감소, 해외투자 증가로 인한 산업공동화(空洞化) ▲후진적 기업환경 ▲코리아 R&D 패러독스 ▲복잡해지는 글로벌 대외환경 등 총 5가지다.
포럼은 위기 징후가 지속된다면 한국의 10년 후 미래 먹거리가 불투명하고, 한국이 산업 선도국의 지위를 잃을 수 있다고 우려하며, 지금부터라도 한국의 경제 및 사회가 가진 구조적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포럼은 투자, 인력, 생산성, 기업환경, 글로벌전략, 신(新)비즈니스 등 6개 분과로 나눴으며, 포럼 출범 이후 민관합동으로 산업대전환을 위한 정책 가이드 도출을 위한 각 분과별 논의를 이어가는 중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각 분과 좌장들은 분과별로 현재까지 논의가 이뤄진 상황을 밝혔다.

신비즈니스 분과 좌장인 박일평 LG사이언스파크 대표는 지난 2개월 동안 몇 개의 유망 분야를 정했다면서 “콘텐츠와 전략이 산업대전환으로 실현되려면 정책 프레임과 산업 환경 자체가 근본적으로 과감하게 바뀌는 정책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생산성 분과의 좌장을 맡은 김현석 삼성전자 고문은 “우리 분과의 미션은 한국의 생산성을 1% 이상 향상시키는 것이다. 돈으로 환산하면 약 20조 원에 달하는 어려운 미션”이라면서 “일이 광범위하고 어렵다. 최선을 다해 좋은 결과가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편, 산업대전환 포럼은 민관합동의 200일 프로젝트다. 첫 100일은 민간의 자유로운 논의로 진행된다. 이후 100일은 산업부 및 관계부처와 함께 민간제언을 정책화해 ‘산업대전환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