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자동화
![[세미콘코리아] 정밀 공압 기술로 구현한 모션 제어와 협동로봇](http://pimg.daara.co.kr/kidd/photo/2023/02/03/thumbs/thumb_168126_1675413722_57.jpg)
[세미콘코리아] 정밀 공압 기술로 구현한 모션 제어와 협동로봇
조해진 기자 2023.02.04공압 및 자동화 전문 글로벌 기업 훼스토(Festo)의 한국법인 한국훼스토(주)가 서울시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열린 ‘세미콘 코리아 2023(SEMICON KOREA 2023)’에 참가해 공압 기술로 구현한 다양한 제품들을 전시했다. 훼스토의 공압 기술..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고도화…
김성수 기자 2023.02.01정부는 제조현장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고도화된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2023년 선도형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정부일반형) 구축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중견기업을 다음달 16일까지 모집한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에 ..
![[카드뉴스] 로봇, 인공지능(AI)·5G 등과 융복합…활용 잠재력 커진다](http://pimg.daara.co.kr/kidd/photo/2023/02/01/thumbs/thumb_168126_1675189379_95.jpg)
[카드뉴스] 로봇, 인공지능(AI)·5G 등과 융복합…활용 잠재력 커진다
김원정 기자 2023.02.01로봇이 제조와 서비스를 오가며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협동로봇이 대표적인 예죠, 제조 분야에서는 부품을 조립하고 물건을 상·하역하는 등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커피를 내리는 바리스타 로봇이 되기도 하고 농업 ..

“고객만족도 향상…제품 구매로 이어지는 선순환고리 만들어갈 것”
김원정 기자 2023.01.19실물경제의 위기 극복과 제조업 전반의 첨단화·고도화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을 시행하며 관련 생태계 조성을 위한 토대를 만들었다면 올해부터는 정부에서 중소·중..

AI/ML 기반 자동화 기술 고도화…정확도와 일관성 개선
김원정 기자 2023.01.11올해 지능형 자동화(Intelligent Automation, IA) 시장은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ML)을 통한 고도화가 구현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SS&C 블루프리즘(이하 블루프리즘)은 2023년 지능형 자동화 시장의 이슈와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

“경기 침체에도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비용은 증가할 것”
김원정 기자 2023.01.02“인플레이션과 국내외 경기 침체가 예상되는 속에서도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비용은 증가할 것으로 본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대량의 데이터로 복잡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학습하고, 운영하기 위해 과거의 분석 시스템보다 큰 규모의 인프라가 필..

공압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용 진공 펌프 개발
김우겸 기자 2023.01.02최근 공압 이송 컨베이어는 벌크 상품을 파이프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공정 단계로 부드럽게 공급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이다. 식품 가공, 제약 및 화학 산업, 플라스틱 가공 시 재료 공급 분야에서 분말 또는 입자형 재료를 운송해야 할 경우 흡입 이송..

로봇 개발의 최종 단계에 고객 참여 확대 전망
김원정 기자 2022.12.28자동화 시장에서 수요자의 로봇 적용 목적에 맞춘 공동 개발 프로젝트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발표됐다. 28일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이 밝힌 ‘2023년 자동화 시장의 핵심 키워드와 주요 전망'(이하 발표)을 보면, 2023년 이..

식품산업의 로봇자동화…생산효율·작업안전 견인 기대
김원정 기자 2022.12.22국내 식품산업이 인공지능(AI), 로봇 기술 등과 결합하면서 푸드테크(Foodtech)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푸드테크는 식품(Food)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 전반에 AI, 사물인터넷(IoT), 바이오기술(BT) 등 첨단기술과..

스마트팩토리에서 AI 역할↑…기술 개발로 난제 해결 중
문근영 기자 2022.12.21제조 기업은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통해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도입한 검사로 불량품 판별 속도나 정확도를 높이는 게 대표적이다. 시간, 사람, 공간 등의 문제를 AI로 해결하려는 것이다. 현재 제조공정은 인공지능을 통한 검사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