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기술개발 착수보고회 개최
김원정 기자 2023.05.25‘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기술개발 착수보고회’와 ‘제4차 분산에너지 유관기관 협의회’가 25일 서울 삼성동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 오크룸에서 열렸다.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기술개발 사업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한 안정적 전력계통 운..

솔라엣지(SolarEdge), 2022년 지속 가능성 보고서 발표
김우겸 기자 2023.05.25스마트 에너지 기술 분야의 글로벌 기업 솔라엣지(이하 ‘SolarEdge’)는 25일 회사의 지속 가능성 전략의 진행 상황을 담은 '2022년 지속 가능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속가능성 보고서는 ESG(Environment, Society, Gover..
![[5월 24일] 뉴욕증시, 부채한도 불확실성 확대에 약세 출발(LME Daily Report)](http://pimg.daara.co.kr/kidd/photo/2023/05/25/thumbs/thumb_168126_1684989998_48.jpg)
[5월 24일] 뉴욕증시, 부채한도 불확실성 확대에 약세 출발(LME Daily Report)
임성일 기자 2023.05.2525일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3대 지수 모두 약세로 하루를 시작했다. 전일 약보합권에서 머물던 증시는 메카시 하원 의장이 공화당 의원들에게 협상 상황이 순탄치 않다고 말했다는 보도가 전해진 후 하락폭을 ..

이공계 핵심 연구인력 고갈 위기
김원정 기자 2023.05.24인구가 감소되면서 이공계 대학원으로의 진학률도 떨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결국 산업계의 인력난이 커질 것이라 분석이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력의 맞춤형 양성, 정부 출연연의 인력양성 확대, 해외 이공계 우수 학생들의..

인공지능(AI), 인간 뇌 닮아가나
황예인 기자 2023.05.24오픈 AI 시대가 시작됐다. 인터넷으로 세계가 연결되면서 데이터들은 점차 쌓였고, 인공지능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해,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김영보 신경외과 교수는 24일 서울 광화문 CKL 스테이지에서 열린..

산업경쟁력 좌우하는 ‘인재’…인구 감소로 확보 어려워진다
김원정 기자 2023.05.24산업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인재 확보에 빨간불이 켜졌다. 이공계 기피현상이 아니라 인구 자체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산업계의 인재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제158회 KISTEP 수요포럼에서는 ‘핵심 연구인력 고갈 위기, 이공계 대학원의..
![[포토뉴스] 콘텐츠와 AI의 만남](http://pimg.daara.co.kr/kidd/photo/2023/05/24/thumbs/thumb_168126_1684916033_29.jpg)
[포토뉴스] 콘텐츠와 AI의 만남
황예인 기자 2023.05.24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하는 ‘2023 콘텐츠산업포럼’이 24일 광화문 CKL 스테이지에서 문을 열었다. 이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AI 시대, 콘텐츠산업’을 주제로 AI 기술 발전 현황 및 콘텐츠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인신협, 제3기 채용연계형 기자 교육 수강생 모집
임성일 기자 2023.05.24한국인터넷신문협회(회장 이의춘) 부설 KINA교육센터는 24일 채용연계형 기자교육 프로그램을 개편, ‘제3기 채용연계형 인터넷 신문기자’교육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오는 7월 5일 개강하는 교육은 9주간의 일정이다. 매주 수요일 오후 ..
![[5월23일] 뉴욕증시, 투자자들 관망 속 보합권 약세 출발](http://pimg.daara.co.kr/kidd/photo/2023/05/24/thumbs/thumb_168126_1684907258_81.jpg)
[5월23일] 뉴욕증시, 투자자들 관망 속 보합권 약세 출발
임성일 기자 2023.05.2423일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으로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이어가며 3대 지수 모두 보합권 약세로 하루를 시작했다. 전일 진행됐던 부채한도 협상은 별다른 합의 없이 종료됐다. 양측은 모두 성과가 있었다고 말했지만 데드라인이 다가오면서 ..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정책효과 검증 필요하다”
김원정 기자 2023.05.24경기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물가 상승, 금리인상 등의 여파로 인해 2024년도 최저임금 결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민주노총은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실질임금 저하, 해외 주요국의 적극적인 임금인상 정책 등을 이유로 지난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