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AI

협동 로봇, 어디까지 왔나...이제는 맞춤 제작이 대세
황예인 기자 2023.04.16(주)청송엔지니어링은 지난 12일 개최한 '2023 한국전자제조산업전(Electronics Manufacturing Korea, 이하 EMK 2023)‘에 참가해 작업 현장 상황에 맞춰 제작한 다양한 협동 로봇을 시연했다. 청송엔지니어링 관계자는 물체의 무게 및 부피, 사용 용도..
![[포토뉴스] 미래 혁신 기술 주도하는 로봇 자동화 시스템](http://pimg.daara.co.kr/kidd/photo/2023/04/13/thumbs/thumb_168126_1681357520_59.jpg)
[포토뉴스] 미래 혁신 기술 주도하는 로봇 자동화 시스템
황예인 기자 2023.04.13최근 반복적인 업무를 소프트웨어가 처리하는 자동화 기술이 도입되며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지난 12일 '2023 한국전자제조산업전 X 오토모티브월드코리아’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려 스마트팩토리, 로봇 등과 관련된 자동화 기술을 선보..

2023 한국전자제조산업전 개막…자동차 전장산업 관심도↑
조해진 기자 2023.04.12‘2023 한국전자제조산업전(Electronics Manufacturing Korea, 이하 EMK)’이 12일 서울시 삼성동 코엑스(COEX) C홀에서 ‘2023 오토모티브월드코리아(Automotive World Korea)’와 동시 개최했다. 리드케이훼어스(유), 케이훼어스(주), (사)스마트제..

생성형 AI, 금융권 도입 전 선결해야 할 문제는?
조해진 기자 2023.04.09지난해 11월 오픈AI의 ‘챗GPT(ChatGPT)’가 공개되면서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폭증했다. 다양한 산업군에서 생성형 AI 도입 시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금융권에서도 이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도입 전 선결해야..

에너지 감축 방향…초소형 모빌리티 활성화되나
김원정 기자 2023.04.02자동차를 비롯한 이동수단들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또한 모빌리티의 크기 및 중량으로 인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탑승 인원에 맞춘 소형 모빌리티 제품이 제시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막을 올린 2023..

이동성 부여된 로봇의 활용 가능성은 어디까지
김원정 기자 2023.04.02로봇이 고정형에서 이동성이 부여되면서 보다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지난달 31일 개막한 2023 서울모빌리티쇼(Seoul Mobility Show) 2023에서 선보인 로봇 개는 네 발로 움직이며 참관객의 시선을 끌었다. 이 제품을 선보인 기..
![[보안엑스포] 보안관제원 역량 영향없이 사이버 공격 대응 필요](http://pimg.daara.co.kr/kidd/photo/2023/03/29/thumbs/thumb_168126_1680084458_76.jpg)
[보안엑스포] 보안관제원 역량 영향없이 사이버 공격 대응 필요
김원정 기자 2023.03.31보안관제원에 따라 사이버 공격의 대응방안이 달라질 수 있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자동화된 보안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이러한 요구에 대응해 ‘AI·빅데이터 기반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대응 기술’을 개발..

한국판 IRA + 태양광 LCR 제도 도입…태양광산업 경쟁력 제고 촉구
김원정 기자 2023.03.30중국이 주도하고 있는 태양광시장에서 한국이 경쟁력을 올리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지 들어볼 수 있는 자리가 있었다. 30일 서울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진행된 ‘2023 에너지플러스컨퍼런스’에서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신형섭 파트장은 ‘국내외 태양광..

“실시간 운영 데이터는 우리 몸의 '피'와 같은 역할”
김원정 기자 2023.03.30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와 에너지 비용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하지만 탄소중립 이행에 대한 과제를 뒤로 미룰 수는 없는 상황이다.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아비바(AVEVA) 코리아 박민철 이사는 전력·에너지 분야를 비롯해 제조산업, 데이터센터 등..

“2050 탄소중립 이행…전환부분의 탈탄소화 추진 필수”
김원정 기자 2023.03.30“탄소중립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37%를 차지하는 ‘전환부문’의 탈탄소화가 추진돼야 한다.” 한국전력공사(KEPCO) 탄소중립전략처 한규진 부장의 말이다. 한 부장은 30일 서울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개최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