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활용의 중요성 및 정책 방향에 대해 국민과 함께 소통하고 논의하는 ‘2022 데이터 톡톡 페스티벌’이 1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렸다.
2022 데이터 진흥주간 개막식에서는 ‘데이터로 대한민국을 그리다’라는 주제로 데이터 비즈니스 트렌드, 미래 데이터 인재, 데이터 정책 전망에 대한 업계 전문가들의 논의가 이어졌다.
KT 최준기 본부장은 “인공지능과 컴퓨팅 파워의 발전으로 자사 데이터를 많이, 다양한 형태로 저장하고 분석해야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며 데이터 웨어하우스 활용을 넘어 데이터 거래 및 융합의 두 번째 시장이 커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진짜 데이터 분석가는 필드에서 완성된다. 학교에서 배운 것 외에도, '재교육'이라 할 정도로 업계에서 배우는 것들이 중요하다”며 “문제파악과 솔루션 적용을 위해서는 관련부서의 모든 사람과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고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카이아이컴퍼니 정호정 대표이사는 “공급자 중심의 데이터 관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며 “헬스 분야는 특히 사회적 가치 실현과 불평등 해소가 강조되는 분야다보니 의사나 관련 업계 전문가들이 국민을 위한 데이터를 활용방안을 많이 고민하고 있다”고 업계 상황을 전했다.
데이터 인재 양성면에서는 기업별 실질적인 직무교육을 강조했다. 데이터 도메인 이해에 대한 중요성에 동의하며 “과기정통부의 소프트웨어캠퍼스와 같은 산학연계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면 기업에서 직무교육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우아한 형제들 이봉호 팀장은 기술적인 면에서의 변화를 언급하며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구분하지 않기 시작했다. 이제는 두 가지를 묶어 빠르고 정확한 문제해결을 위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개인에게, 해당 시점에,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초개인화, 리얼타임 솔루션에 대한 니즈가 커지면서 관련 비즈니스도 확산하고 있다는 게 이 팀장의 설명이다.
또 “많은 사람들이 데이터를 기술적 관점에서 보는 것 같다. 하지만 데이터를 도구로써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며 “어떤 결과물을 원하고 예상하는지 가설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봄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제언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엄열 국장은 데이터 관련 생산·유통·활용 등에 있어 정부 규제나 제도 미비로 인한 어려움이 있음을 인정하며 “정부가 규제개혁에 집중하고 있다는 시그널을 시장에 명확하게 전달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 산업법이 지난 4월 시행돼 데이터 가치평가, 데이터 중개사, 데이터 안심구역 등 민간에서 데이터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여러 제도들이 있다”며 “정부의 역할은 진흥정책보다는 있는 제도의 규제를 철폐하고 국가가 가진 공공데이터를 빨리 개방하는 것에 방점이 있다”며 진행 속도를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