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국내 연구진이 신뢰 기관 없이 데이터 암호화 키를 교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개인 데이터 주권을 강화하는 핵심 보안 기술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기존 빅테크 기업 중심의 데이터 산업 환경에서 벗어나 개인 데이터 주권을 보장하기 위한 ‘개인 데이터 신뢰 유통 플랫폼(트러스트 데이터 커넥톰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기업이 데이터를 관리하지 않고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셈이다.
연구진은 신경망 학습을 기반으로 암호 기술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개선했다. 신뢰 기관 없이 320ms(밀리초) 이내에 암호 키 교환을 완료할 수 있다는 평가다.
개인 간 데이터 거래 시 데이터 유출 없이 유효성을 검증하고, 신뢰 기관 없이 데이터 거래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트러스트 데이터 유효성 검증 모델’도 제시했다.
데이터의 중요성에 따라 검증 수준을 선택할 수 있어 헬스케어 데이터, 자동차 주행 데이터 등 개인 데이터 거래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보안도 강화할 수 있다고 ETRI 측은 설명했다.
김정녀 ETRI 사이버보안연구본부장은 ‘디지털 컴퓨팅을 넘어 양자컴퓨팅 시대에서도 안전한 정보 보안 기술을 선도하고, 개인 데이터 보호와 양자 보안 혁신을 이끌어가겠다’면서 ‘미래 데이터 산업 발전에 핵심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