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공공 마이데이터 4년간 15억 건 서비스…“올해 기업으로 확대”
전효재 기자 2025.02.07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누적 제공량이 15억 건을 넘어섰다. 번거로운 구비서류 준비 과정을 줄이고 행정 업무 효율화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하 NIA)은 7일 ‘2025년 공공 마이데이터 관계기관 설명..

“트럼프,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달러패권 유지나서”
김대은 기자 2025.02.07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가상자산(디지털자산) 산업을 국가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삼은 기저에는,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지급결제망으로 달러패권을 유지하기 위함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자본시장연구원의 김갑래 센터장은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

슝크, 전기 구동 5축 바이스 KONTEC KSX-E 출시
김우겸 기자 2025.02.07슝크(이하 SCHUNK)가 완전 전기 구동 방식의 5축 바이스 KONTEC KSX-E를 출시했다. SCHUNK는 Healthy Factory 개념을 기반으로 클램핑 장치의 정밀 제어와 네트워크 연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량 및 중간 배치 가공에서도 실시간 데이터 ..

JAI, CoaXPress CXP-12 지원 프리즘 기반 컬러 라인 스캔 카메라 출시
김성수 기자 2025.02.07JAI가 Sweep+ 시리즈의 프리즘 기반 R-G-B 라인 스캔 카메라 라인업을 확장하며, CoaXPress 2.0 CXP-12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두 가지 신모델을 출시했다. 새롭게 선보인 SW-4000T-CXPA와 SW-8000T-CXPA는 각각 4,096픽셀(4K) 및 8,192픽셀(..

활기 잃은 중소기업, 추경편성으로 활력 만들어줘야
김진성 기자 2025.02.07한국 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중소기업이 내수부진과 고금리 장기화,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가계부채가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반면 기업 대출액은 4% 증가해 중소기업의 ‘돈맥경화’ 현상..

“가상자산 시장, 법인과 개인 사이 균형점 찾아야”
김대은 기자 2025.02.07“가상자산(디지털자산) 시장에는 개인 투자자와 중장기적 계획을 갖춘 법인 또는 기업 모두가 필요하며, 이들 사이의 최적화된 균형점을 고민해야 한다”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이종섭 교수가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포럼’ 행사에 발제자로..

“AI 혁신 생태계, 공급·수요기업 협력 체계 필요”
전효재 기자 2025.02.07한국이 미국·중국 등 인공지능(AI) 선도국을 따라잡기 위해 AI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의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양희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는 6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25 디지털 정책포럼’에서 “국내 AI ..
![[2월 6일] 트럼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진전”(LME Daily)](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2/07/thumbs/thumb_168126_1738889311_15.jpg)
[2월 6일] 트럼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진전”(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2.076일 비철금속 시장은 혼조세를 보였다. 3개월물 구리 가격은 다시 상승세를 나타내며 한때 톤당 9,350달러를 기록, 1월 24일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SHFE 거래소에서도 활황물 가격이 강세를 보이며 1월 17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상승했다...

“법인 투자자, 가상자산 시장의 청지기·파수꾼 역할 수행할 것”
김대은 기자 2025.02.07가상자산(디지털자산)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진입·영업행위 규제 신설과 법인 투자자 거래 참여 허용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법무법인 세종의 황현일 변호사는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6일 진행된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을 위..

스마트건설, 대·중견기업 넘어 중소기업으로까지 관심 확산돼야
김진성 기자 2025.02.06건설 현장에 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도입하는 ‘스마트건설’에 대한 중요도가 커지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일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관련법의 제정 및 강화, 재정지원 확대 등을 통해 실질적으로 건설산업의 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