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CTR에너지, 창립 이래 최대 매출 572억 원 달성
김우겸 기자 2025.05.16CTR에너지(씨티알에너지)가 2024년 매출 572억 원을 기록하며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2023년 256억 원 대비 116% 증가한 수치로, 신재생에너지 사업 전반의 확장을 기반으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CTR에너지는 이번 실적이 태양광 발..

용성전기, 국산화한 전원 분배 단자대로 가격과 관리까지 모두 고객 만족도 높여
김진성 기자 2025.05.15전원 분배 단자대는 하나의 전원을 받아 여러 개의 회로나 장치로 전기를 안정적으로 분배하는 전기 연결 장치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기 배선을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용 제어 시스템에서 배선 정리, 회로 보..

케이앤피솔루션, 모듈형 통합안전 예방장치로 선제적 산재 방지 나선다
김진성 기자 2025.05.15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이 더욱 엄격해지면서 산업현장에서 벌어지는 산업재해에 대한 경각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산업재해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을 도입해 재해예방에 힘을 쏟고 있다.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해 17일까..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반세기 여정 기반으로 새로운 반세기 설계한다
김진성 기자 2025.05.15기후위기와 탄소 중립 등이 에너지 분야의 당면 과제로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으나,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에 보수적인 접근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의 권지웅 대표는 “산업과 관련한 모든 프로..

기계연-서울시립대, 생체 에너지 효율의 인공촉각신경시스템 개발 성공
김진성 기자 2025.05.10인공 촉각 신경은 압력 센서와 시냅스 소자 간 낮은 호환성으로 인해 소모 에너지와 외부 자극 감지 대역이 생체에 비해 크고,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 AI로봇연구소 바이오기계연구실 이보연 선임연구원 연구팀..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2025] Senergy, 고출력 인버터·ESS 솔루션으로 국내 C&I 시장 대응](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5/09/thumbs/thumb_168126_1746767750_10.jpg)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2025] Senergy, 고출력 인버터·ESS 솔루션으로 국내 C&I 시장 대응
김우겸 기자 2025.05.09국내 상업·산업용(C&I) 태양광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태양광 인버터 전문기업 Senergy가 이를 겨냥한 고출력 인버터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용 제품군을 ‘2025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서 공개했다. 이 전시회는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

차기 정부, 에너지 관련 산적한 과제 어떻게 풀어내나?
김진성 기자 2025.05.07차기 정부 출범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으면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정책 제안이 쏟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난 정부와 가장 궤를 달리할 것으로 보이는 에너지 분야도 새로운 정책 도입에 대해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민규 의원과..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2025] 파루, AI 기반 영농형 태양광 트래커 공개](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5/07/thumbs/thumb_168126_1746578273_25.jpg)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2025] 파루, AI 기반 영농형 태양광 트래커 공개
김우겸 기자 2025.05.07태양광 발전과 농작물 재배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AI 영농형 트래커’ 기술이 공개됐다. 경사진 농지에도 설치 가능한 이중 활용 구조와 자동 환경 대응 시스템이 적용돼, 영농형 태양광의 실용화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파루(PARU)는 지..
![[스마트빌딩, 빌딩이 똑똑해진다①]슈나이더 일렉트릭, 클라우드 기술 기반으로 스마트 빌딩 진화 이끈다](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5/07/thumbs/thumb_168126_1746576910_69.jpg)
[스마트빌딩, 빌딩이 똑똑해진다①]슈나이더 일렉트릭, 클라우드 기술 기반으로 스마트 빌딩 진화 이끈다
김진성 기자 2025.05.07친환경, 에너지 관리가 전 분야의 화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많은 이들이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빌딩에서의 에너지 관리에 많은 이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과거의 스마트빌딩이 건물 관리의 자동화에 그쳤다면 지금은 자동화를..
![[BIPV, 심미성과 효율의 융합②] 신재생에너지 생산 넘어 가치창출 도구까지](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5/02/thumbs/thumb_168126_1746158534_38.jpg)
[BIPV, 심미성과 효율의 융합②] 신재생에너지 생산 넘어 가치창출 도구까지
김대은 기자 2025.05.06▶‘[BIPV, 심미성과 효율의 융합①] 투광형 태양광, 창문에서 전기 생산’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심미성 문제를 해결한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건물일체형태양광)는 새로운 가치창출 도구로의 확장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