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지속가능한 미래 건설 '다빈이앤씨', 친환경 기술·스마트 건설 솔루션 확대
김우겸 기자 2025.03.21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계에서 독자적인 기술력을 쌓아온 다빈이앤씨(DABIN E&C)가 친환경 기술과 스마트 건설 솔루션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19일, 대전에 위치한 다빈이앤씨 본사에서 박상근 대표를 만나 기업의 핵심 ..

CTR에너지(CTR Energy), 이노일렉트릭㈜과 신재생에너지 협력 강화 업무협약 체결
김성수 기자 2025.03.19CTR에너지(CTR Energy)가 이노일렉트릭㈜과 신재생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9일 CTR에너지에 따르면, 협약을 통해 RE100 이행 전략을 수립하고 인버터 유통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사업 컨소시엄..
![[AW 2025] 바이드뮬러코리아, 육안·손끝으로 결선 확인 가능한 단자대 선보여](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3/14/thumbs/thumb_168126_1741925445_15.jpg)
[AW 2025] 바이드뮬러코리아, 육안·손끝으로 결선 확인 가능한 단자대 선보여
김대은 기자 2025.03.16산업용 결선 솔루션 기업 바이드뮬러(Weidmüller)의 한국지사 바이드뮬러코리아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산업현장에 최적화된 다양한 전력 솔루션을 출품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AW 2025] 슈나이더 일렉트릭, 스마트 판넬로 에너지 효율 극대화](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3/12/thumbs/thumb_168126_1741780599_50.jpg)
[AW 2025] 슈나이더 일렉트릭, 스마트 판넬로 에너지 효율 극대화
김진성 기자 2025.03.13AI의 폭넓은 활용과 자동화 등으로 인해 전력의 수요는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력의 효율적인 사용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올해로 한국지사 설립 50주년을 ..

톡스, 높은 전도성 확보로 배터리 셀 접합 기술 고도화한다
김진성 기자 2025.03.08기계나 장비를 아무리 획기적으로 만든다고 하더라도 완성품의 접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해당 장비를 통해 만들어낸 생산품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장비 자체의 내구성에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3월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CKD, 일본 현지에서 인정받은 이차전지 실력으로 한국 시장 공략
김진성 기자 2025.03.07이차전지 산업의 경우 국내에 이미 삼성SDI, SK온, LG에너지솔루션 등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포진하고 있기 때문에 완성품은 물론 제조 설비 시장 역시 해외 기업들의 진출도 녹록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3월 5일부터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고 있는 인..

“빅테크 수주 빼도 美 매출 1조 원”…구자균 회장의 자신감
전효재 기자 2025.03.07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이 올해 미국에서 1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LS일렉트릭은 전력 인프라 교체 시기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수요가 맞물린 미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구자균 회장은 5일 삼성동 코엑스..

김동명 LG엔솔 사장 “배터리 올해 상반기 저점…수요 증가 상황 대비”
전효재 기자 2025.03.06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겸 한국배터리산업협회 회장이 올해 상반기가 배터리 시장의 저점일 것이란 관측을 내놨다. 김동명 사장은 5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배터리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 개막 전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밝..

트리나솔라, 210mm 모듈 출하량 170GW 돌파… 태양광 산업 혁신 주도
김인환 기자 2025.03.04트리나솔라(Trina Solar)가 210mm 태양광 모듈 누적 출하량이 170GW를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2020년 업계 최초로 210mm 모듈을 출시한 이후, 2024년 12월 기준 전 세계 210mm 모듈 총 출하량은 380GW에 달하며, 업계 신기록을 경신했다. 210mm..

이차전지 성능, 롤투롤 호환 플래시 기술로 개선
김진성 기자 2025.03.03후막 전극은 고에너지 밀도를 구현하며 배터리 팩의 층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공정을 효율화함으로써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두꺼운 전극 두께로 인해 리튬 이온과 전자의 이동 저항이 증가하고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