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주민 수용성 확보가 핵심 과제
김대은 기자 2025.01.09한국은 국가전략기술로 전력 사용량이 많은 AI(인공지능)·반도체 등의 산업을 선정하고 육성하고 있다. 또,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여러 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현행 ‘전원개발촉진법(전촉법)’에 따른 한국전력공사 중심의 전력설비 확충은 대규..
[포토뉴스] ‘국가기간전력망특별법’ 토론회 개최…문제점 따지고 대안 제시
김대은 기자 2025.01.08반도체·인공지능 등 전력 사용량이 큰 산업이 국가첨단산업으로 부상함에 따라, 대용량 전력의 안정적 공급이 가능한 ‘국가기간전력망’ 구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2대 국회에는 11건의 관련 특별법안들이 발의돼 있으나, 실제..
건물 단위 탄소중립 한계…“구역 단위 에너지 네트워크 구축해야”
전효재 기자 2025.01.08건축물의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구역 단위 에너지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단일 건물의 탄소중립에 큰 비용을 투자하는 대신, 건물끼리 에너지를 공유해 효율적 탄소중립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건원 고려대학교 건축학..
에너지 손실 최소화, 신재생에너지 생산…탄소중립 실현할 ‘제로에너지빌딩’
전효재 기자 2025.01.08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 ‘제로에너지빌딩(Zero Energy Building, 이하 ZEB)’로 탄소 중립을 실현한다.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한 설계, 신재생에너지 생산 설비 등 가용한 방법을 총동원해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 한영숙 싸이트플래닝 건축사사..
4차 배출권 거래제, 기업 비용 증가 야기한다
김진성 기자 2025.01.04지난주 기획재정부, 환경부가 4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배출권거래제는 5년마다 수립되며, 이번 계획은 2026~2030년을 대상으로 하는데 대한민국은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0년 국가 감축목표(NDC)를 상향한 바 있으며, 2..
미국 태양광 산업, 모듈 수입은 줄고 셀 수입은 늘었다
김진성 기자 2025.01.012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 2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의 태양광 산업과 관련한 움직임에 재생에너지 산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하나증권이 발표한 ‘급감하는 미국의 태양광 모듈 수입량’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태양..
“국제수소거래소 초기 신뢰 구축에 국가 역할 중요”
김대은 기자 2024.12.27“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수소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선 수소 가격이 지속적으로 인하됨과 동시에 표준화된 시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국제수소거래소’가 필요하다”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이종영 교수는 27일 열린 ‘국제수소거래소 설립을 ..
“한국, ‘수소허브’ 조성 통해 에너지 교역 중심국으로 도약 가능”
김대은 기자 2024.12.27“거래중심지는 먼저 형성이 되면 후발주자 진입이 어려운 만큼, 아직 허브가 만들어지지 않은 수소·암모니아 국제거래소는 한국이 선점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27일 개최된 ‘국제수소거래소 설립을 위한..
“국제수소거래소, 전북에서 완주하자!”
김대은 기자 2024.12.27국제수소거래소 설립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방안을 마련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안호영 의원실과 국회수소경제포럼, 전북도민일보는 27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국제수소거래소 설립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
태양광 폐패널·폐배터리 재활용, 규제특례로 상용화 속도↑
김대은 기자 2024.12.26태양광 폐패널·이차전지 재활용 및 재생산 등 순환경제 신기술 9건에 규제특례가 적용됐다. 환경부는 올해 처음으로 순환경제 분야에 규제특례(샌드박스)제도를 도입하고, 관련 신기술·서비스 9건을 승인했다고 24일 환경부 브리핑실에서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