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 방안 논의
조해진 기자|jhj@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 방안 논의

건물부문 2050 탄소중립 이행 관련 토론회 개최

기사입력 2022-12-13 14:58:2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건물의 외피 성능 향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이소영 국회의원과 (사)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건물부문의 2050 탄소중립 어떻게 이행할 것인가?’ 토론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열렸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 방안 논의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국회의원

올해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르면,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기준 1억8천만t으로 국가 전체 배출량의 24.7%를 차지, 발전, 수송, 산업과 함께 온실가스 배출 4대 부문으로 꼽힌다.

이에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건물 에너지 효율의 혁신적인 대책 강구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이 토론회를 주최한 이들의 시각이다.

이소영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서 수송이나 건물 부문이 굉장히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정책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던 것 같다”면서 “아직 정치 쟁점화가 되지 않은 분야이기 때문에 좋은 정책이 제안된다면 진전을 이뤄낼 수 있는 분야가 수송과 건물 분야”라며 좋은 정책 제안을 경청해 입법 및 정책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 방안 논의
명지대학교 이명주 교수

이날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에너지 효율 개선 사례 및 추진 방향’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맡은 명지대학교 건축학부 이명주 교수는 “건물 에너지 효율화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에너지 절약 설계 기술을 통해 냉·난방 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에 더해 고효율 설비와 설비운영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건물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해 화석에너지 사용을 최소화 또는 제로로 하는 건축물을 ‘제로에너지 건축물’이라고 정의한 이 교수는 건축물의 외피(Building Envelopes) 성능 향상이 우선적으로 이뤄야 할 과제라고 밝혔다.

건축물의 외피 성능을 향상시키면 단열은 물론 틈새 바람을 없앨 수 있어 에너지 효율화를 이룰 수 있는 패시브(Passive)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건축물 외피 성능 향상을 위해 ▲탄소중립을 위한 100대 핵심기술에 건축물 용도별 에너지 절약 설계 및 건설 기술 추가 ▲냉·난방 에너지 요구량 최소화 기준 수립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에 건축물 정책 포함 ▲한국형 건물부문 넷제로(Net-Zero) 종류 구분 및 개념 정리 ▲2030년 신축건축물 탄소중립 건축물로의 실행을 위한 로드맵 개선 및 사전 공고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전시회와 기업의 발전 양상을 꼼꼼히 살피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