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EV)시장의 몸집이 계속해서 커지며 호황을 누리고 있다.
지난 28일 폐막한 ‘2023 국제전기전력전시회(Electric Power Tech Korea)’에 다양한 전기차 충전기들이 전시됐다. 이에 해당 산업 업체 관계자에게 전기차 충전 인프라부터 전기 공급 현황까지 전반적인 EV 이슈들을 물어보았다.
떠오르는 해, EV 산업
친환경 사회 구축을 위한 전기차의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는 지금 전기 모빌리티 시대의 문턱에 서 있다. 지난해 국내 친환경차 등록대수가 40% 가까이 증가하고, 누적 등록 대수가 150만 대를 돌파하면서, EV 시장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문업체 (주)씨어스 이병훈 상무는 전기차 산업이 활기를 띠면서 충전기 시장 매출도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EV 산업의 열기가 뜨겁지만, 이는 예열 상태일 뿐, 2025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속도를 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 보조금, 독일까 약일까
지난 2월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전기차 구매 보조금 개편 방안'에 따르면, 국고 보조금은 지난해보다 20만 원 줄어든 최대 680만 원까지 받을 수 있고, 지원 대수는 지난해보다 31% 증가한 21만여 대로 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병훈 상무는 이러한 혜택을 두고 “최근 소비자들이 전기차가 아니라 보조금에 포커스를 맞춰 지원금을 받으려고 전기차를 구매하는 모순 현상이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지원금에 대한 욕심이 전기차 수요량 급증의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의 정책 목표를 전기차 판매 촉진에만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전기차 판매가 늘어나면 어떤 경제·산업 효과가 나타날지에 대한 정교한 분석이 필요하다.
전기차 인프라 문제의 서막
전기차 산업에 대해 모두가 장밋빛 전망을 내놓지만, 그 이면에는 우려되는 부분이 없지 않다.
정부는 작년 1월에 아파트 단지 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의무화했다. 우리나라는 아파트 공동 주택 비율이 63.5%에 육박한다. 전기차 충전기를 2% 이상의 규모로 설치하는 것은 주차공간 부족 및 화재사고 문제로 아파트 단지에서 분쟁과 갈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 상무는 “아파트 단지 내 전기차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라면서 분쟁이 더 심화되기 전에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기 수요, 이대로 괜찮나
“전기차 200만 대가 동시에 7km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정도로 충전한다면, 전기 소요량은 발전소 몇 개를 더 만들어도 감당이 안된다”
현재, 전기차 사용자의 충전 시점은 야간보다 주간에 훨씬 더 많이 이뤄진다. 이를 두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예시를 들며 이 상무가 언급한 말이다. 모든 충전이 주간에 이뤄지면 한전에서 공급하는 전기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 상무는 “자가용 출퇴근 운전자는 하루 평균 65km 가량을 주행한다. 총 500km의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65km 정도 운행 시 최소 5일 정도는 주행할 수 있다. 5일에 한번, 잠자는 시간 대에 충전하면 된다”면서 "이 같은 사이클이 돌아야 전기 인프라, 탄소중립 등 모든 인프라 조건이 맞아떨어진다"라고 강조했다.
그의 설명과 관련, 버스제조 기업 관계자는 "사례처럼 사이클을 돌리려면, 주거환경 변화가 필요하다"고 전제한 뒤 “9층 아파트에 거주 중인데 차를 충전하고 편히 잠을 잘 수 없다. 다른 거주자가 차를 빼라고 독촉하고 차를 빼지 않으면 벌금까지 문다”라며 결국 급속 충전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주거환경 변화가 시급하다는 데 공감을 한 이 상무는 "상황 해결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사용자의 에너지 소비 패턴과 우리나라 환경의 변화부터 선행돼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어떤 방향성을 갖고 변화를 할 것인지에 대한 궁극적인 해답과 함께, 이런 노력들이 EV나 탄소중립의 미래 운명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