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유럽반도체법이 발효되면 시장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와 함께 반도체 장비 수요 증가의 반사이익도 기대되고 있다,
KDB미래전략연구소의 ‘유럽반도체법 입법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반도체법이 발효되면 EU의 반도체 제조역량 강화로 반도체시장에서 경쟁 심화가 전망되지만 한국 반도체 장비업체의 진출과 반도체 생산설비 수출 확대 기회요인도 병존할 것으로 분석했다.
EU 집행위원회는 지난 달 18(현지시간) EU반도체법이 3자 협의 타결됐다고 밝혔다. 향후 동 법은 이사회와 유럽의회 각각의 승인절차를 거친 후 관보에 게재된다.
동 법의 시행을 통해 EU 집행위는 2030년까지 민간 및 공공에서 430억 유로를 투입해 EU의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20%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기업의 경우 동 법의 시행으로 어려움도 있겠지만 본딩(Bonding)과 몰딩(Molding) 장비 등 반도체 후공정 장비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춘 만큼 EU 시장 진출과 반도체 생산설비 수출 확대 기회 요인도 병존한다며, 관련 법을 모니터링하며 수출판로 개척기회에 대응할 것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