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현대엔지니어링이 최근 벤틀리시스템즈(Bentley Systems) 주최로 열린 2023 Going Digital Awards in Infrastructure Korea 컨퍼런스에서 토목 및 건축 구조 자동화 설계-Open STAAD API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현대엔지니어링 김동원 책임은 이날 폭넓은 분야의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시간 압박과 과제 해결의 어려운 사례를 공유했다. 플랜트 설계 하는데 있어서 자동화를 도입키로 결정, 이를 위해 플랜트, 건축, 토목 등 다양한 부서들의 작업을 중심으로 자동화 설계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또한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자신의 작업을 빨리 끝내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없다는 압박감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폭탄 돌리기 게임에서의 긴장과 유사하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이어 김동원 책임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 대한 자동화 설계를 통해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일정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을 소개하면서, "특히 플랜트 설계에서 발생하는 반복 작업의 감소와 함께 리비전 처리의 용이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자동화 설계의 대상으로 파이프 랙과 셀터를 선택하고, 이들에 대한 자동화 모델링 및 해석 프로세스 설명도 이어졌다. 파이프 랙의 경우, 배관 정보를 기반으로 3D 모델 인포메이션을 추출하고, 이를 오픈 STAAD API를 활용해 자동화 모델링 및 해석을 수행했다고 했다. 쉘터에 대해서도 건축 담당자가 직접 입력하는 여러 변수를 기반으로 자동화 모델링 및 설계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향후 물량 예측을 더욱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했다고 덧붙였다.
김동원 책임은 마지막으로 "자동화 설계 발전을 위해 머신러닝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그리고 그에 따른 최적화에 대한 계획을 공유하며, 기술의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