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뉴스검색 기본값을 콘텐츠제휴(Contents Partner, 이하 CP)사로 변경한 ‘다음(DAUM)’포털에 언론사와 유관단체가 힘을 합쳐 책임과 대안을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15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포털뉴스 검색서비스 개편 관련 정책토론회’가 개최됐다. 장경태,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한국디지털신문협회가 공동 주관했다.
카카오는 지난해 11월 뉴스검색 제휴사들과 협의나 사전 예고 없이 뉴스검색 기본값에 CP사만 노출되도록 변경한 바 있다. 카카오 측은 검색 기본값에서만 제외한 것일 뿐 접근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중소‧지역‧인터넷 언론사는 다음포털을 통한 유입이 사실상 제한된 상황이다.
한병인 한국디지털신문협회 회장(파이낸셜투데이 대표이사)은 “카카오는 편향‧편협된 언론사를 걸러내기 위함이라 말하지만, 극소수 언론사의 일탈을 전체의 문제로 몰아 수많은 중소‧지방 언론사의 뉴스 노출을 원천 봉쇄한 것”이라면서 “건강한 언론 생태계를 무너뜨리는 민주주의 파괴 행위나 다름없다”라고 비판했다.
포털 종속된 언론…플랫폼 책무‧책임성 강화해야
유승현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는 “다음 뉴스서비스 개편의 실질적 파급효과와 문제점이 심각하다”면서 “검색제휴언론사를 아예 배제해 약 12%의 CP사만 노출하고, 이용자의 선택권 제한 뿐 아니라 언론사 차별과 불공정행위라는 점도 충분히 지적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언론 생태계가 포털에 종속돼 발생한 구조적 문제”라고 진단했다. 포털과 언론사의 불공정거래가 대안 없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포털플랫폼의 권한이 과도해졌다는 거다.
유승현 교수는 “플랫폼 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강화되면서 뉴스 이용의 포털 의존도가 심화됐고, 언론사의 브랜드 가치 하락과 경쟁력 상실로 이어졌다”라고 지적했다.
이용자 차원에서의 문제점도 제시했다. 플랫폼 미디어의 개인화된 추천 알고리즘이 이용자의 편향적 소비를 강화했고, 포털 중심의 시장 구조가 어뷰징, 선정성, 광고 난립 등 저널리즘의 품질을 하락시켰다는 주장이다.
유 교수는 “포털뉴스 생태계를 처음부터 다시 구축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포털과 언론사가 서로 동의할 수 있는 콘텐츠 제휴 방식을 마련하고, 공정한 언론사 선정 기준을 확립해 상호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미다.
또한,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공과를 면밀히 평가해 새로운 ‘포털 협의체’를 도입하고, 플랫폼 차원에서 포털의 사회적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슈퍼갑’ 포털 폭주…‘다음’ 개편 전 멍석 깔아준 ‘네이버’
다음이 뉴스검색 서비스를 개편하기 전 멍석을 깔아준 기업이 있었다. 네이버는 지난해 8월 29일 CP사 우대 검색옵션 기능을 추가했다. 뉴스검색 기본값은 전체 언론사 그대로 두었지만, 언제든 CP사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김상헌 파이낸셜투데이 총괄대표는 “지난해 5월 ‘뉴스제휴평가위원회’ 활동 중단부터 11월 뉴스검색 개편까지 포털의 ‘일방통행’ 사례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면서 “최근 ‘슈퍼갑’ 포털이 칼춤을 추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라고 말했다.
CP사와 비CP사로 분열된 언론 시장이 힘을 합쳐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그는 “다음포털의 CP검색은 검색제휴사를 제외하고도 1군과 2군으로 나뉘고, 46개 CP사 중 29곳만 검색결과 1면 상단에 노출된다”면서 “언제 뉴스정책이 바뀔 지 모르니 CP사도 웃을 상황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CP사와 비CP사를 막론하고 함께 고민하고 힘을 모아야 한다”면서 “언론사들이 하나로 뭉쳐야 좋은 언론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포털 변화 이제 시작…“직접적 이해당사자들이 목소리 내야”
김위근 퍼블리시 최고연구책임자는 “포털의 뉴스서비스 변화는 이제 시작”이라고 경고했다.
다음의 뉴스검색 개편은 뉴스검색제휴사에겐 생존의 위협이다. 언론사 웹페이지에 직접 접속하는 비율이 매우 적은 상황에서 포털사이트를 통한 접근은 대다수 언론사의 존재를 증명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언론사 입장에서 불안감이 증폭되는 이유다.
포털사이트에서 뉴스서비스가 차지하는 중요성도 크게 줄었다. 뉴스서비스 트래픽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다. 플랫폼 사업자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도 위협 요소다. 리스트 형태로 이용자의 주목을 기다리는 검색 서비스가 아예 사라질 수도 있다.
김위근 최고연구책임자는 “해외 빅테크기업은 콘텐츠가 좋거나 영향력 있는 몇 개 언론사와 계약해 생성형 AI의 검색결과로 내놓는 모습도 보인다”면서 “아예 새로운 검색서비스가 등장할 수 있어 학계, 언론계, 포털에서 전면 개편 논의가 나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언론사와 인터넷기술기업의 관계 설정이 더욱 기형적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며 “언론산업에 관계된 인터넷기술기업은 언론사를 공생과 협력의 핵심 파트너로 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유승현 교수는 “포털이라는 플랫폼사업자의 책임성을 공유하고, 그에 대한 책임과 답변을 분명히 요구해야 한다”면서 “포털은 어떤 이유인지를 떠나 현재 벌어지는 변화에 대안을 제시할 책임이 있다”라고 했다.
또한 “포털의 움직임이 이제 시작이라는 생각이 들고, 앞으로 포털뉴스 생태계가 지금까지와 달라질 것”이라면서 “언론사와 유관단체를 비롯해 직접적인 이해당사자들이 목소리를 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