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中 성장률 둔화, 국내 영향 여전히 '제한적'
박지우 기자|churro@daara.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中 성장률 둔화, 국내 영향 여전히 '제한적'

무협, 장기적 관점에서 전략대응 나서야

기사입력 2014-11-01 01:46:5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中 성장률 둔화, 국내 영향 여전히 '제한적'


[산업일보]
중국 경제성장률은 둔화됐지만 국내 기업들의 경우 중국 수출에 큰 충격을 받지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중국경제 3분기 평가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3분기 경제성장률은 정부목표치를 밑도는 7.3% 성장에 그쳤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09년 1분기 이후 최저치다.

보고서는 하지만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시장전망치(7.2%)를 웃돌아 중국경제 경착륙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켰다고 분석했다. 미국, EU 등의 경기회복과 연말수요 증가로 선진국 수출이 증가한 것이 원인이다.

중국에 부품, 중간재를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의 대중 수출에 미치는 영향도 이 때문에 다소 제한적이라고 무협 보고서는 설명했다.

무역협회 이봉걸 전략시장연구실 연구위원은 "중국 수출회복으로 우리 기업들의 부품, 중간재 등 중국 수출도 회복되는 연쇄효과가 나타났다"며 "단기적으로 봤을 때 우리 대중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우려가 크다. 중국 내 소비, 투자 등 실물경제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중국경제가 가진 구조적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중국정부의 내수확대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매판매 증가율은 지난해 13.1%에서 9월 11.9%로 낮아졌다. 중국경제 성장을 이끌었던 고정자산투자도 16.1% 증가에 그쳐 지난해 19.7%에 비해 큰 폭으로 둔화됐다.

특히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중국경제 성장둔화가 더욱 가속화되어 올해 정부 목표치 7.5%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보이며 7%대 초반으로 성장률이 고착화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이 연구의원은 "중국 경제성장률 둔화와 자급율 확대로 우리의 대중수출 감소가 예상됨에 따라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중국 정부가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신형도시화와 서비스업에서 생겨나는 기회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