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서비스산업 육성 위한 표준화 계획 발표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서비스산업 육성 위한 표준화 계획 발표

기사입력 2015-04-14 18:08:2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서비스 산업의 대외 경쟁력을 높이고 현장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주요 서비스 업종별로 표준화가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성시헌)은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정책을 지원하고, 서비스 품질 및 생산성 개선을 위한 '서비스 표준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그동안 콜센터, 노인요양시설, 예식장 등 100여종의 서비스 표준을 제정해 일정부분 성과를 얻기도 했으나, 이번에 수립한 '서비스 표준화 추진계획'은 단편적 표준개발에서 벗어나 서비스 산업 육성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체계적인 표준화 계획을 담고 있다.

각 부처에서 수행중인 서비스 산업 육성과제를 대상으로 '일자리'와 '부가가치' 창출이 높은 8개 산업, 20여개 업종을 선정하고, 표준개발 필요성 및 전문성 등을 검토해 후보과제를 도출했다.

우선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어린이집, 통학버스 등의 보육서비스 표준을 정비하고, 융복합 관광(MICE) 및 의료관광 안내 그리고 전통음식 조리법과 공연장 등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표준개발을 추진한다.

또한 개인사업자를 위한 창업보육에서부터 중소사업자의 마케팅과 판촉지원을 위한 브랜드가치 평가 및 온라인 광고대행에 대한 표준도 제정하기로 했다.

아울러 사교육 산업의 성장에 따른 어학캠프 등 비정규교육 서비스와 직업재활교육 및 채용 컨설팅, 개인정보 보안 등의 지식서비스도 표준화할 예정이다.

자유무역협정(FTA) 확대에 따른 서비스 시장 개방에 대응하고 우리 서비스 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국제표준(ISO)과의 부합화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국가표준(KS)을 제정해 나갈 예정이다.

그리고 서비스 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해 현재 8개 업종에만 시행하고 있는 KS 서비스인증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여력이 부족한 중소업체에게는 서비스실태 진단 및 컨설팅을 지원하고, 분야별로 서비스 교육기관을 지정해 고용창출과 연계할 수 있는 현장 맞춤형 교육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국표원은 관계 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2017년까지 동 서비스표준화를 완료할 계획이며, 이에 따라 서비스산업 전반에 걸친 인프라 확충과 국제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