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수소연료전지차 핵심부품 '전극막집합체' 개발
최시영 기자|magmacsy@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수소연료전지차 핵심부품 '전극막집합체' 개발

수입의존 벗어나 경쟁력 및 기술 발전 한단계 '업'

기사입력 2016-03-08 11:19:4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미래의 궁극적인 친환경 자동차인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대해 각국의 자동차 회사에서 경쟁적으로 신규 자동차 개발을 발표하면서 기술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수소연료전지의 원가절감 및 성능·내구성 향상 등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료전지 전극막접합체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서 수소와 산소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 내는 핵심부품이다. 이는 자동차의 엔진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의 연비와 내구성은 전극막접합체의 성능과 내구성에 의해 좌우된다. 자동차회사의 특성상 화학·소재 기술이 부족해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극막접합체를 최근까지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수소연료전지차 핵심부품 '전극막집합체' 개발

황인철 책임연구원은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의 핵심부품인 전극막접합체를 자체 개발해 국내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전극막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직접 전기를 만드는 얇은 필름 형태의 부품으로 수소와 산소의 혼합을 방지하는 분리막과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촉매로 구성(해당부품이 자동차 가격의 약 15%를 차지)돼 있다.

황인철 책임연구원은 전극막접합체의 국산화를 목표로 화학·소재 기술 및 제조공정 개발을 위해 휴일을 반납하고 밤낮없이 기술개발에 노력했다.

수소연료전지차 핵심부품 '전극막집합체' 개발
황인철 책임연구원


그 결과 국산 기술을 통해 제조한 전극막접합체를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탑재함으로써 대한민국이 세계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산업에서 기술력을 인정받는 쾌거를 달성했다.

전극막접합체 국산화를 통해 수입품 대비 원가를 13% 절감하고 내구성을 1.5배 높였으며, 6개 자동화공정을 설계·도입해 제조시간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황 책임연구원은“휴일도 없이 연구개발에 매진해 온 동료들과 적극 지원해 준 가족에게 감사한다”며“급변하는 연료전지 자동차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기술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끊임없이 힘쓰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 AI와 로봇에서부터 드론과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해 나나가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