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디지털 혁신인재,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 ‘밑거름’
문근영 기자|mgy0907@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디지털 혁신인재,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 ‘밑거름’

4차 산업혁명 이끄는 ‘스타트업’ 관련 문제 해결해야

기사입력 2022-11-16 13:54:1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디지털 혁신인재,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 ‘밑거름’

[산업일보]
스타트업이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현시대의 밑바탕에는 디지털 역량을 갖춘 인재들의 노력이 있다. 디지털 인재는 플랫폼, 인공지능 등을 기반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며 세상을 바꾸는 중이다.

정부는 지난 7, 8월에 ‘반도체 인재양성 방안’과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연이어 발표했다. 지난 9월에는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을 수립해 디지털 인재양성을 포함한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구현하고, 디지털 시대의 모범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해 스타트업 인재채용과 양성에 관한 내용을 다룬 ‘디지털 혁신인재 양성 어떻게 할 것인가? : 스타트업 인재 발굴과 양성을 중심으로’ 정책토론회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디지털 혁신인재,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 ‘밑거름’

김주희 국민대학교 혁신기업연구센터 본부장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세계 100위에 이름을 올린 스타트업 목록을 살펴보면, 한국 기업은 없는 게 모순적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스타트업 인재발굴과 양성을 통한 글로벌 디지털 경쟁력 향상’에 대해 발표한 그는 “한국은 디지털 경쟁력이 세계 상위 수준인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세계 상위 스타트업 목록에는 한국 기업이 없다”고 지적하며 “여기에서 우리가 오늘 토론해야 할 중요한 이슈가 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이 언급한 문제는 스타트업 인재채용이다. 혁신을 이끄는 스타트업 관계자들에게 고민을 물어본 결과, 소프트웨어 등의 개발이나 데이터 분석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뽑는 게 어렵다고 답했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시장에 곧바로 적용 가능한 디지털 실전 경쟁력을 만들 수 있는 인재가 부족하다는 점을 꼬집었다.

스타트업이 시장에 진입할 때와 성장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게 다르기 때문에, 해당 시점에 맞는 실전형 인재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발표에서는 이 문제를 풀기 위한 사례가 제시됐다. 김 본부장은 소프트웨어 사관학교 정글이 스타트업과 플랫폼 기업들이 참여해 실전형 인재를 양성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장기적인 로드맵을 어떻게 끌어갈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부산에서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는 김태진 플라시스템 대표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지역불균형 문제를 꼬집었다.

그는 “지난 9월에 부산 스타트업 대표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부산은 창업하기 좋은 도시인가에 대한 질문에 44%가 부정 의견을 표시했다”면서 “부산에서 계속 사업을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고민 중이거나 떠날 것이라고 답변한 게 52%에 달했다”고 말했다.

창업 생태계가 수도권에 집중된 상태로, 지방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의 소멸이 심각한 상황이라는 내용이다.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하는 부산 기업들이 인재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는 김 대표는 부산에 본사가 있으나 인재채용을 위해 서울지사를 운영하면서 부산 출신 인재를 채용하는 웃픈 현실이 이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디지털 혁신인재,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 ‘밑거름’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이에 앞서,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는 이번 토론회와 정부 정책 사이에 한 가지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 계획은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이고, 토론회에서 다룬 내용은 혁신을 추가한 디지털 혁신인재라는 것이다.

그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단순히 코딩, 소프트웨어, 디지털 경제 등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는 인재가 아니고, 혁신을 주도하고 동참할 수 있는 인재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디지털 인재를 양성해도 대기업이나 안정적인 취업만 원하는 인재만 양성한다면, 혁신을 주도하기 힘들다”며 “집요한 문제해결 능력을 갖고 있는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문근영 기자입니다. 인공지능, 로봇, 환경 등 산업 분야의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