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뉴욕증시가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 확대로 소폭 강세로 출발했다. 다우지수는 0.32%, S&P500은 0.21%, 나스닥은 0.02% 상승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정책 기조 조정 가능성을 언급한 뒤, CME 페드워치는 12월 FOMC 금리 인하 확률을 70.9%로 반영했다. 21일 제조업 PMI는 51.9로 예상치(52.0)를 소폭 밑돌았고,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는 51.0으로 전망치 50.5를 상회했다. 올스프링글로벌인베스트먼트의 존 켐벨 자산총괄은 “변동성은 존재하지만 금리 인하 사이클은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구리 가격은 장중 변동성이 컸다. 초반에는 톤당 10,607.5달러까지 떨어지며 11월 5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의 최근 고점 대비 30% 가까운 하락이 위험자산 전반에 매도 압력을 불러온 것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Commodity Market Analytics의 댄 스미스는 “암호화폐 급락이 일부 투자자들의 연쇄 청산 리스크를 자극했다”고 설명했다.
고용지표 역시 구리 가격을 누른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 신규 고용 증가가 예상보다 강했지만 실업률이 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오르며 경기의 불확실성이 부각됐다. 한편 금리 인하 기대가 다시 살아나면서 뉴욕증시가 반등했고, 구리는 이를 따라 톤당 10,795달러까지 회복했다. 제조업 PMI가 예상치를 약간 밑돌았지만 금리 환경 개선 기대가 산업 수요 전망을 지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주 비철금속 시장은 갑작스럽게 높아진 12월 금리 인하 기대가 지속될지 여부가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시장은 FOMC 위원들의 발언과 미국 고용·소비 지표 흐름을 중심으로 가격 방향성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NH농협선물
※ 본 자료는 투자 판단 참고용이며, 결과에 대한 책임은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