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신소재
철강업계, 급변하는 업계 흐름에 뱀의 지혜로 대응하자
김진성 기자 2025.01.14철강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 산업이지만 대표적인 ‘굴뚝산업’인 만큼 최근의 친환경 흐름에 따른 다양한 과제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에, ‘푸른뱀의 해’인 을사년을 맞이해 뱀의 지혜로 철강업계의 위기를 극복하자는 목소..
[포토뉴스] 산업의 쌀 ‘철강’, 2025년 지혜롭게 맞이해 봅시다
김진성 기자 2025.01.14‘산업의 쌀’로 일컬어질 정도로 산업계 전반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철강업계 종사자들이 새해를 맞아 어려운 업황을 지혜롭게 극복해 가자고 각오를 다졌다. 한국철강협회는 14일 포스코센터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장관과 철강협회 장인화 ..
우진플라임 테크니컬 센터, 혁신적 솔루션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김우겸 기자 2025.01.08지난해 우진플라임 테크니컬 센터를 방문한 고객 수가 2천 명을 넘어섰고, 260개 이상의 기업이 설비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는 고객 맞춤형 기술 지원과 혁신적 솔루션 제공을 통해 우진플라임이 사출 성형기 시장에서 신뢰받는 글로벌 리더로 자리..
원자력, 과거의 오명 벗고 친환경 에너지로 빠르게 자리매김
김진성 기자 2024.12.30체르노빌‧후쿠시마 폭발 등으로 인해 ‘원자력’에 대해서는 대부분 ‘친환경’이라는 단어를 붙이기가 어렵고, 얼마전까지는 아예 이를 폐기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그러나, 유럽에서부터의 움직임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까지 원전에 대한 ..
석탄재에서 꺼낸 희토류,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기반 만들어준다
김진성 기자 2024.12.30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우리나라 경제를 이끄는 주요 산업에 사용되는 소재인 희토류는 세계 생산량의 대부분이 중국과 호주에서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핵심전략광물’로 분류돼 수출입이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국민의힘 김용태 의원은 ‘핵심..
글로벌 철강시장, 공급은 과잉되고 수요산업도 위축
김진성 기자 2024.12.10흔히 ‘산업의 쌀’로 불리는 국내 철강산업이 위기를 겪고 있다. 내수와 수출 모두에서 통상환경의 변화와 트럼프 정부의 출범, 중국산 저가 철강 성장 등의 이유로 철강산업은 내년에도 시계제로의 시기를 지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국회철강포..
2기 트럼프 정부, 철강시장은 계속 찬바람 불 것
김진성 기자 2024.12.10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한 달 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국의 철강시장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로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이에 올해 하반기부터 하향세를 보이기 시작한 철강인들의 2025년이 ..
꼬막 껍데기, 친환경·기능성 소재로 변신
김대은 기자 2024.12.07꼬막 껍데기(패각)가 소재가 된다. 패각 자원화 전문 업체인 ‘드림라임’이 ‘2024 대한민국 순환경제 페스티벌’에서 꼬막 패각 자원화 솔루션을 소개했다. 이 업체는 전라남도 벌교읍의 해양에서 생산되는 꼬막의 패각을 가공해 자원화한다. 꼬..
Moldex3D, 차세대 클라우드 플랫폼 ‘Moldiverse’ 출시
김우겸 기자 2024.12.06플라스틱 성형 시뮬레이션 전문 기업 Moldex3D는 6일 차세대 클라우드 플랫폼 ‘Moldiverse’를 공식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Moldiverse는 재료 데이터베이스, 기계 관리, 디지털 트윈 기술, 전문 지식 공유 플랫폼을 통합해 플라스틱 성형 산업의 효율..
소재·부품·장비가 살아야 철강도 함께 산다
김진성 기자 2024.11.19지난 정부에서 일본과의 무역 마찰로 인해 소재, 부품, 장비의 국산화에 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탄 이래 한국은 해당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냈다. 그러나, 국제정세의 불안함이 이어지면서 소재, 부품, 장비 분야는 여전히 예의주시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