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8일 서울시 중구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2023년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 혁신계획 간담회'를 개최했다.
산업부 최남호 기획조정실장은 모두발언에서 “지난해 산업부는 혁신TF를 통해 예산, 복리후생, 자산 효율화,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에 대한 혁신 계획을 수립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7월 제9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통해 ‘새정부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후 산업부는 소관의 41개 공공기관에 대한 혁신계획안을 마련, 구랍에 5대 분야의 기관별 혁신계획을 모두 확정했다.
산업부 소관 41개 공공기관 혁신계획은 ▲예산 효율화 ▲복리후생 효율화 ▲자산 효율화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경상경비 및 업무추진비 5천500여억 원을 올해까지 절감·감축하고, 과도한 복리비 및 제도 107건에 대한 개선을 추진한다.
또한, 2027년까지 약 2조4천억 원에 달하는 비핵심 부동산과 비핵심 출자회사 지분 규모 등을 정비해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비핵심업무 등을 축소하고 인력 재배치 등을 통해 기능 및 인력 효율화를 이루는 것이 목표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전 등 20개 공공기관의 관계자들과 민간 외부 전문가 등이 참석해 혁신계획안의 성과, 애로해소 방안, 조치계획 등을 공유하고, 질 높은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공기관의 혁신’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최 기획조정실장은 “지난해에는 공공기관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혁신계획 수립에 역점을 기울였지만, 계획 수립만 해서는 안 되고 잘 이행을 해야 한다”면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공공기관의 역량 집중을 강조했다.
이어 “이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애로사항들에 대해서는 산업부도 관계기관 협의 등 애로해소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매 2개월마다 이행상황을 점검할 계획을 밝혔다.
한편, 최 기획조정실장은 다가오는 설 연휴 기간에 대비, 각 공공기관의 취약 요소에 대한 특별 안전점검 등 안전관리 강화도 함께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