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산업계를 비롯해 사회의 다양한 부분에 변화의 바람이 일고 있다. 전자문서 등 공공행정 디지털화를 성공적으로 이뤄낸 한국은 AI를 공공행정 분야에 도입해 국가 시스템의 혁신을 꾀하고 있다.
17일 서울시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8간담회실에는 국회신성장산업포럼이 주최한 ‘공공행정 AI 도입방안 모색 포럼’이 열렸다.
포럼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김진표 국회의장은 인사말에서 “AI 시대를 맞아 공공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달라지고 있다”면서 “국민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는 것은 기본이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잠재적 행정수요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으로 진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럼의 공동대표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AI 시대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을 국회에서 예상하고, 문제점들을 법적으로, 제도적으로 정비를 해야 한다”면서 이번 포럼이 갖는 의의를 밝혔다.
이어 “한국은 첨단기술을 공공행정에 도입해서 성공한 대표적인 국가”라고 자신하며 “정부 기관이 가지고 있는 거대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면 남들이 하지 못하는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앞서 나갈 한국의 AI 기술력에 기대감을 표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AI가 단순히 업무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국민들의 서비스를 개선하는 것에 머무를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AI 활용을 통해 한국 행정이 더 큰 변화와 혁신의 가능성을 가질 것이라고 피력했다.
아주 빠른 시일 내에 AI가 공공행정 시스템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 장 의원은 “공공행정 분야의 AI 적용은 한두 가지의 정책이 아니라 국가 시스템 자체와 미래를 바꿔 나가는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4일 한발 앞선 AI 일상화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초거대AI 생태계를 확보하겠다는 비전 아래 ‘초거대AI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초거대 AI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초거대AI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