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부터 9일까지 이틀간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2회 개인정보보호페어 & CPO 워크숍(PIS FAIR 2023)’에서도 이와 관련한 내용들이 거론됐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와 PIS FAIR 조직위원회(조직위원장 염흥열) 주최로 개최한 ‘PIS FAIR 2023’ 행사에는 관련 분야 유관기관 및 기업 총 70개 사가 참여했다. 기관과 기업의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CPO),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개인정보처리자, 보안담당자 등 개인정보보호 역량 강화 목적의 현업실무자까지 약 4천여 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PIS FAIR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연도인 2011년부터 개인정보보호 제도의 활성화와 대국민 홍보 및 인식제고를 위해 개최하기 시작해 이제는 국내 최대 규모의 개인정보보호 축제로 자리 잡았다.
개인정보보호 및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공급하는 주요 기업들이 참가해 자사 제품을 전시하고 시연하면서, 실제 사용자인 수요자와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현장의 실무자가 필요로 하는 솔루션의 특징과 수요를 파악하고 의견을 나누는 소통의 장으로 자리 잡았다.
기조연설에 나선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011년 개인정보 보호법 제정과 함께 시작한 PIS FAIR는 현재 공공과 민간의 개인정보처리자 등 연관 업무 담당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개인정보의 가치에 대해 깊이 고찰하며 전문성과 경험을 나누고 공유하는 개인정보인들의 대표적인 축제로 거듭났다”라고 강조했다.
디지털 전환기에 서있다고 강조한 고학수 위원장은 챗GPT로 대변되는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 삶의 곳곳에서 편익과 효율이 더욱 증가하고 있지만, 동시에 예기치 못한 왜곡과 오류 현상도 감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출은 물론 국민의 건강과 생명까지 위협하는 것은 물론, 조직과 국가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 고 위원장은 “정부와 국회는 개인정보보호법 전면 개정으로 국민의 개인정보 안전과 함께 데이터 경제 생태계를 촉진하고 있다. 산학연 전문가들이 이 같은 노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기주 한국CISO협의회 회장은 “올해 IPS FAIR 2023의 슬로건처럼 이제는 개인정보 신뢰사회를 구현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가 됐다”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일도, 활용하는 일도 신뢰가 전제돼 있지 않으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PIS FAIR 2023은 행사 기간 동안 ‘IPS ; Trust, 개인정보 신뢰사회’를 주제로 35개의 강연과 토크콘서트를, 동시개최 콘퍼런스로는 서울특별시가 주최하는 ‘제4회 서울특별시 개인정보보호 포럼’과 개인정보보호 전문강사협회가 주최하는 ‘제2회 개인정보보호 전문강사 포럼’도 함께 진행된다.
이번 PIS FAIR 2022에서는 ‘최근 사건으로 살펴본 개인정보 타깃 해킹 공격 실태와 시사점’을 주제로 한 키노트 강연을 시작으로 <보안뉴스>와 <카이스트 사이버보안연구센터>의 보안솔루션 성능 테스트 시리즈인 ‘비식별(가명) 보안 솔루션 비교 분석’,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주요내용’, ‘2023년 개인정보 자율보호 정책 방향’ 강연이 이어진다.
한국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보안담당자가 직접 사건 대응과 후속조치 등을 설명하는 자리는 주목할만 하다. 주요 개인정보 유출사고를 직접 겪었던 CPO와 보안담당자가 사고 당시의 경험과 사고 이후의 변화상을 소개한다. 이외에도 개인정보보호 관련 정책과 주요 이슈, 개인정보 탈취·유출 사건과 대응방안 등 개인정보 관련 담당자들을 위한 다양한 강연이 펼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