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한국 AI(인공지능) 산업 발전을 위해 외산모델 탈피 노력과 정부의 기술 및 인프라 육성 지원, 기업 간 협력 통한 공동성장 토대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안성원 박사는 21일 열린 ‘2023 대한민국SW대상 우수소프트웨어 설명회’에서 ‘생성형 AI가 가져올 변화와 미래’라는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2022년에 이어 올해도 AI의 해였다고 돌아본 그는, Open AI의 ‘ChatGPT-4 터보’ 모델을 필두로 최신 정보와 입력 용량 확장 등 점차 파라미터 수가 늘어나는 형태로 ‘초거대화’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안 박사는 “그러나, 반드시 초거대화 만을 고집하지는 않느다”라며 “개인의 핸드폰에서도 무리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적은 컴퓨팅 인프라로 실행이 가능한 경량화도 추진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초기 생성형 AI는 이미지 생성 등 창작의 영역에서 많이 활용됐다. 지금은 문서와 코드 작성은 물론, 가상환자를 만들어 약물을 실험하는 등의 의료영역과 메타버스의 NPC 제작을 위한 페르소나 시뮬레이션에까지 쓰이고 있다.
안성원 박사는 AI 활용의 다양한 사례를 소개하며 “최종목표를 설정해두면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목표 달성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오토GPT 즉, ‘인공 일반 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의 현실화가 멀지 않았다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라고 해설했다.
그는 “AI는 산업혁신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세계 일자리 3억 개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연간 2조 달러 이상의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런 AI의 문제시되는 이슈로 우선 저작권 문제가 있다.”라며 “AI를 학습시킬 때 쓰였던 학습 데이터 저작권과 AI가 생성한 창작물의 저작권, 이렇게 두 가지 경우로 분류돼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형국”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생성형 AI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받는 ‘환각’형상과, 안전장치를 우회하면 폭탄 제조 방법 등 비윤리적 활용이 얼마든지 가능한 기술적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고 전했다.
안 박사는 “AI가 창작한 ‘오염 데이터’들이 점차 온라인에 퍼지면, 후발 AI들은 그 데이터들을 학습 또는 답변 생성의 토대로 삼을 것”이라며 “그로 인해 오염 데이터 생성이 가속화되는 악순환의 문제도 있다”라고 짚었다.
또한, 그는 “이렇듯, 생성형 AI가 갖고 있는 여러 문제로 주요국들은 잠재적 영향과 혜택, 위험성 등을 연구하고 규제 등 대응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라며 “세계 유명 석학들은 산업진흥과 안정성의 이유로 각각 갈라져 규제 찬반 논쟁이 가열되는 양상”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안성원 박사는 “결과적으로, 우리의 산업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AI 시장 활성화는 당연히 고려돼야 할 것”이라며 “외산모델에 의존하고 있는 시장 구조를 어떻게 탈피할 것인지 고민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 차원에서의 AI 기술 개발과 육성 지원이 있어야 한다”라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기업 간 협력을 통한 공동 성장의 토대 구축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