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톡톡 튀는 인재를, 학생은 현장학습에 학점까지”
미래부, ‘학점이수인턴제 운영계획’ 확정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2015년 1학기부터 중소・중견기업 및 정보통신・정보통신 융합분야 대학생을 대상으로 ‘ICT 학점이수 인턴제’를 본격 시행한다고 지난 23일 발표했다.
이 제도는 ‘짧은 기술주기와 높은 전문성’으로 대변되는 ICT 분야에서 대학 학과 교육과 더불어 기업과 현장의 수요에 부합하는 실무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는 인식에서 지난 2월 시행된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법 12조)’에 따라 도입됐다.
그간 여러 기관 등에서 다양하게 추진된 인턴 형식의 교육이 상호 정보 부족과 참여 목적의 불일치, 관리 미흡 등으로 당초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미래부는 현행 다양한 인턴제의 장・단점 등을 검토,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문제해결型 ICT 인재 양성’을 목표로 ICT 분야에 특화된 ‘ICT 학점이수 인턴제도 운영계획’을 수립했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턴의 구체적인 직무와 목표 및 참여 프로그램을 명확히 하고, 기업 - 학생간 매칭을 강화하였다.
참여 기업은 R&D 프로젝트・제품 개발 등 인턴 기간 동안 실제로 추진할 과제와 그에 따른 인턴의 명확한 직무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학생은 자신이 근무할 기업의 주요 기술 분야, 근무 환경 및 인턴 프로그램을 미리 살펴보고 원하는 기업에 지원하게 되며, 기업은 인턴의 근무 시기와 기간, 학생의 역량 및 인터뷰 등을 통해 기업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게 됨으로써, 기업과 인턴 간 수요 기반의 매칭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기업・인턴・대학 등 본 제도에 참여하는 각 주체에 대해 사전 준비 및 원활한 운영을 위한 사항을 지원한다.
참여 인턴에 대해 인턴 근무 급여, 사전 교육(소양・직무 관련), 기업 인사책임자 등과의 멘토링 등을 제공하고, 참여 기업에 대해서는 인턴 근무 환경 구축, 전담인력 확보 비용, 실습 관련 기자재비 및 프로젝트 운영에 관한 사항을 지원하는 한편, 참여 대학에 대해서는 인턴 추천, 인턴 지도 등에 필요한 사항이 지원된다.
셋째, 전담기관(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운영을 통해 현장 애로 요인을 파악, 상시 개선할 수 있는 체계도 도입했다.
참여 기업의 선정과 기업–인턴 간 매칭, 상시적인 현장 의견 수렴 및 제도 성과와 개선점 발굴 등을 통해 동 제도가 실질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 제도와 관련해 지난 23일부터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사업 안내 및 참여대학․기업에 대한 공모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연수 기업의 선정, 기업과 학생 간 매칭, 사전 교육 등을 거쳐 2015년 총 150여명의 인턴을 목표로 1, 2학기에 나누어 실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