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 신시장·신산업 창출
김진성 기자|weekendk@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 신시장·신산업 창출

사람 중심 실용적 접근, 인공지능 산업혁명 능동적 대응

기사입력 2016-03-17 16:19:3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박근혜 대통령은 17일 김진형 SW 정책연구소장, 김대식 KAIST 교수를 비롯한 인공지능 및 SW 관련 기업인, 전문가 등 총 40여명과 간담회를 갖고 인공지능의 산업적 활용과 한국 대응전략에 관해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박 대통령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갖기 보다는 사람 중심의 실용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음을 당부했다. 또한 인공지능 중심의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는 한편, 사회 진전에 따른 중장기 영향 분석과 정부 차원의 준비 필요성 등에 관해 언급했다.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 주요 내용으로는 ▲지능정보기술 연구소 설립 ▲지능정보기술 선점 ▲전문인력 저변 확충 ▲데이터 인프라 구축 ▲지능정보산업 생태계 구축이다.

민간주도로 기업형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정부는 연구비 지원 등 연구소가 연구에 몰입해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형태로 연구소를 설립하고 연구소 주도하에 핵심 지능정보기술 연구개발, 사업화, 데이터 결집·협업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언어·시각·공간·감성지능, 스토리 이해·요약 등 연구를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지원해 세계 지능정보기술 시장 선점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며 지능정보기술 발전 기반 조성을 위한 뇌 과학, 산업수학, 슈퍼컴 등 기초연구도 지속 진행할 계획이다.

SW중심대학, 대학ICT 연구센터, SW스타랩 사업 등을 활용하되, 해외 전문가 리크루팅 사업을 통해 해외 우수인력 확보도 병행해 지능정보사회에서 새로운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민간·정부 보유 데이터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소재정보 서비스’, ‘언어·시각 등 연구용 DB, 전문가시스템 개발을 위한 전문지식 DB를 구축·공개해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한다. 컴퓨팅 자원, 지능정보SW, 전문지식DB와 전문가시스템 등 인프라와 벤처기업에 클라우드로 제공해 지능정보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지능정보기술과 산업의 성장이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돼 신산업·신시장을 창출하는 한편, 고령화, 복지, 교육, 치안 등 다양한 사회현안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능정보사회 추진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산업1부 김진성 기자입니다. 스마트공장을 포함한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 3.0을 관심깊게 살펴보고 있으며, 그 외 각종 기계분야와 전시회 산업 등에도 한 번씩 곁눈질하고 있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