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치료제(DTx) 산업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가 1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행사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국민의힘),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병훈(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주최했다.
디지털 치료제란 기존의 먹는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소프트웨어를 비롯해 가상현실(VR), 게임 등 디지털 기술로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제다. 신경정신과질환, 호흡기질환, 심혈관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활용한다.
이날 개회사에서 백종헌 "ICT 기술을 활용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각종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는 국회에서도 주목하고 있다"라며 "국내 디지털 치료제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로 넘어야할 산들이 많다. 국회와 정부, 산업계와 학계 전문가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힘을 합쳐 디지털 치료제 산업이 더욱 발전해 나가길 기대한다"라고 토론회 개최 의의를 전했다.
이병훈 의원은 "우리나라는 게임산업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향후 디지털치료제 개발 분야에 이 부분을 적극 활용하면 의료산업과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오늘 이 자리가 문화컨텐츠와 의료산업이 공동으로 발전하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첫 번째 발제를 맡은 경운대학교의 박명철 교수는 "디지털 치료제의 산업적 가치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그보다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와 국민 건강증진에 우선 해야한다"라며 디지털 치료제 산업의 방향성을 강조했다.
박 교수는 디지털 치료제 생태계 활성화 방안 3가지를 제시했다. ▲수가 적용과 관련된 건강보험 적용 ▲게임에 관한 가능성 확대 ▲보험사의 역할 등이다.
'디지털 치료제의 변천과 개념'을 주제로 발제한 중앙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한덕현 교수는 디지털 치료제는 임상적 호전과 그 호전이 무엇 때문인지 개발 회사가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증명 없이 효과만 있는 경우 디지털 치료제가 아닌 디지털 헬스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발제한 웰트(주)의 강성지 대표이사는 디지털 치료제의 제도화를 통해 신뢰를 높여야 한다고 얘기했다. 디지털 치료제를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가 선행해야 한다는 게 강 대표이사의 생각이다.
디지털 치료제 시장의 경우 ▲명확한 사용 목적 ▲검증된 유효성과 안전성 ▲가치에 맞게 산정된 비용 등이 전제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