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차세대 기술 발전이 산업 전반으로 확산됨에 따라 산업 간의 융복합으로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사이버 보안 위험에 대한 긴장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4일 오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를 개최해 사후 브리핑을 진행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 고진 위원장은 보고회에서 공장 간편 인허가 서비스, 관공서 첨부서류 제로화, 맞춤형 국민혜택 알리미 등 디지털플랫폼정부를 통한 핵심 사례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실현계획에는 정부와 민관 사이를 가로막는 칸막이를 과감히 없애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를 위해 디지털 기반으로 행정체계를 재설계하고, 데이터를 가로막는 법령을 전면 개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고진 위원장은 “디지털 서비스를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디지털 플랫폼 정부 혁신 인프라를 구현하고 정부 시스템 내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전환 추진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국민의 권리를 위해 개인정보통합시스템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개인정보가 언제 어떻게 활용됐는지 확인 가능케 하고 국민 동의시, 개인정보를 지정한 곳에 보낼 수 있도록 마이데이터(MyData) 유통 체계를 확립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및 공급망 보안 등 새로운 보안체계를 도입해 공유된 환경과 개인정보의 안전성을 꾀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언급한 핵심과제들을 신속히 추진해 가시적 성과를 보이겠다고 전한 고 위원은 "올해는 핵심 고부가가치 및 핵심 데이터를 개방하고 행정부와 사법부 간에 디지털 연계를 시작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