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EU 공급망 실사지침을 비롯해 국내외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경제활동의 주요 고려 요소로 부상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정책연구 브리핑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보고서는 수출기업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업들의 ESG 공시 및 평가 대비와 함께 관련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도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중소 제조업체들의 경우 대기업과 공급망으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서 중소기업의 ESG 활동 여부가 EU 공급망 실사에서처럼 주요 이슈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ESG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민간 ESG 확산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를 정비할 필요성에 대해서 언급했다.
구체적으로는 산업재해, 노사관계, 환경, 지배구조 등과 관련된 법규를 선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려 기업들이 생산·영업·고용 활동 시 자연스럽게 이를 내재화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