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해양탄소제거(mCDR)가 탄소중립을 앞당길 수 있는 새로운 기폭제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 역시 상당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양대학교 자원공학과 김진수 교수는 18일 국회에서 열린 ‘해양 기후테크 미래 발전 전략 세미나’에서 북미 지역에서 추진되는 mCDR의 현황과 함께 한국에의 적용 방안과 경제적 효과에 대해 언급했다.
김 교수는 “mCDR 시장은 연평균 17.5%씩 성장해 2030년 경에는 17~24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는 전망을 소개하면서 “미국 에너지부는 2023년에 3천600만 달러를 mCDR프로젝트에 배정했고 2024년에는 추가로 1천만 달러를 mCDR 현장검증에 투입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이러한 투자는 민간 차원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2025년 2분기 전체 CDR시장은 전 분기 대비 2배 이상 성장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가 mCDR계약을 대규모로 체결하면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보잉이나 J.P모건 등도 이와 관련한 투자를 활발히 추진 중이다.
“mCDR 분야는 지난 정부까지는 미국이 활발한 투자로 시장을 주도했으며, 유럽은 2050년까지의 탄소중립을 목표로 노르웨이, 영국, 독일의 적극적인 투자로 2위를 차지한 바 있다”고 말한 김 교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현재 초기 단계이지만 일본과 호주의 해양 기반 탄소 제거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급속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mCDR시장에의 투자가 이뤄지는 이유에 대해 김 교수는 “시장에의 초기 진입을 통해 기술표준과 MRV체계, 탄소 크레딧 가격 결정력 등에서 시장을 선점해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다”고 말한 뒤 “또한, mCDR은 앞으로 비용이 빠르게 하락할 것으로 기대되며, 대규모 사업화 가능성도 높다”고 전했다.
mCDR에 대한 국내 투자 활성화 방안에 대해 김 교수는 “제도적 기반 강화와 금융시장 활성화, 산업 생태계 구축, 기술개발 투자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말한 뒤 “특히 산업 생태계 구축의 경우 한국의 조선해양 기술력을 활용한 부유식 탄소 포집 설비 시장 선도,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