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정부, 자동차 튜닝부품 기술개발 적극 지원키로
이강은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정부, 자동차 튜닝부품 기술개발 적극 지원키로

전남 F1 경기장·대구 남산동 등 특성 맞게 인프라 구축

기사입력 2014-04-10 07:30:0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정부, 자동차 튜닝부품 기술개발 적극 지원키로

[산업일보]
정부가 자동차 튜닝부품 기술개발 지원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The-K 서울호텔서 글로벌 튜닝 부품기업 육성과 경쟁력 있는 부품 개발 지원을 위한 ‘자동차튜닝 부품산업 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자동차 튜닝부품관련 국내외 전문가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외 튜닝 전문가의 초청강연 및 산업부의 ‘자동차튜닝 부품산업 발전전략’ 발표 등 자동차 튜닝부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이뤄졌다.

국내 튜닝산업은 국내 완성차(세계5위)와 차 부품산업(수출 세계7위)의 위상과 최근 자동차 튜닝에 대한 관심증가 불구하고 튜닝시장은 수입품이 대다수를 점유하는 상황이다.

최근 해외 유명 튜닝업체의 국내 진출이 한창인 가운데 ABT(아우디 튜닝), 브라부스(벤츠 튜닝), AC 슈니처(BMW 튜닝), 테크아트(포르쉐)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지난해 기준 세계 자동차 부품 A/S 시장 규모가 약 310조원(튜닝시장은 약 32%인 98조원)이지만 국내 튜닝시장은 완성차 A/S 시장의 10% 수준인 5000억원 규모다.

이에 산업부는 정책적 지원을 통해 글로벌 강소 부품기업을 육성하고 아울러 질 좋은 일자리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맞춤형 지원체계를 가동해 영세 튜닝부품사에는 고장진단 및 품질개선형 기술개발을, 기술력이 높은 튜닝 제조사와 기존 완성차 납품업체에는 고성능 부품기반형 기술개발을 각각 지원하기로 했다.

전남 영암 F1 경기장 인근과 대구 남산동에는 튜닝산업 인프라가 구축된다. 빠르면 올 하반기부터 수요자 중심의 튜닝 가상체험 서비스 등이 가능할 전망이다.

완성차 업체는 손쉽게 튜닝 적용이 가능한 완성차 차종을 보다 확대해 부품업체 간 동반성장 생태계를 조성키로 했다. 우수 튜닝 부품의 수출지원을 위해 전시회 지원, 온라인 종합 쇼핑몰 민간 개설 지원 등을 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자동차 튜닝 부품산업의 육성을 통해 국내 튜닝부품업계가 향후 기술중심의 글로벌 강소부품기업으로 성장하는 한편, 튜닝부품 제조·장착기업이 질 좋은 일자리(decent job)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