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국가데이터처(구 통계청)이 ‘2025 인구주택총조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통계조사원의 가구 방문 시 지자체와 데이터처에서 발급한 통계조사요원증을 확인 후 조사에 응답해 달라는 당부를 전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지역의 복지·경제·교통 등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실질적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5년마다 전국 가구의 20%를 표본으로 선정해 실시하는 조사다.
올해 조사는 지난달 22일부터 인터넷(PC·모바일) 및 전화조사를 시작했고, 이달 1일부터 18일까지는 조사요원이 미완료 가구를 방문해 면접조사가 이뤄진다.
이러한 가운데, 3일 충청투데이는 ‘청주시에서 인구주택총조사 조사요원을 사칭해 주민등록번호를 비롯한 개인정보를 요구한 사기 피해 사례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데이터처는 10일 보도자료와 ‘2025 인구주택총조사’ 홈페이지 팝업을 통해 통계조사원 사칭 주의 안내를 공지했다.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주민등록번호(13자리), 통장번호, 신용카드 번호, 계좌 비밀번호를 절대 묻지 않고, 관련 모바일메시지(카카오톡, 문자 등)에는 어떠한 URL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인구주택총조사 홈페이지와 콜센터(08시~21시), 시군구 통계상황실을 통해 조사요원의 이름으로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처 관계자는 본보와의 전화에서 “경찰을 통해 정식 접수된 피해 사실은 아직 없지만, 국민 우려를 고려해 예방 차원의 주의 안내를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이후 이를 악용한 피싱 시도 사례가 있어, 데이터처에서는 안내 모바일 메시지에서 URL을 모두 제거했다”라며 “인구주택총조사 홈페이지를 통해 응답자가 조사요원의 방문조사 일정도 예약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