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K-AI 생태계①] “K-Pop, K-드라마 이어 ‘K-AI 시대’ 온다”
김대은 기자|kde125@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K-AI 생태계①] “K-Pop, K-드라마 이어 ‘K-AI 시대’ 온다”

한국 개발 AI, 글로벌 AI 커뮤니티 ‘허깅페이스’ TOP 12 선정

기사입력 2025-07-25 16:50:5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K-AI 생태계①] “K-Pop, K-드라마 이어 ‘K-AI 시대’ 온다”
‘K-AI 커뮤니티 서밋 2025’ 전경
[산업일보]
지난해 12월, 글로벌 AI(인공지능) 커뮤니티 ‘허깅페이스(Hugging Face)’의 ‘12월 TOP 12’에 한국 개발자들이 선보인 AI 어플리케이션 2종이 선정됐다. 국내 AI 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자발적 커뮤니티의 힘으로 기술을 창조하며, 글로벌 AI 혁신을 선도하다’를 주제로 ‘K-AI 커뮤니티 서밋 2025’가 23일 개최됐다. 본보에서는 서밋 연사들의 발표를 통해 최신 글로벌 AI 동향과 국내 기술력·생태계 현황 및 정책 방향 등을 살펴봤다.

[K-AI 생태계①] “K-Pop, K-드라마 이어 ‘K-AI 시대’ 온다”
텐스페이스 정원훈 이사

“이제, AI가 우리 대신 일을 하는 시대가 왔다”

텐스페이스의 정원훈 이사는 ‘글로벌 AI 최신 동향 및 한국의 글로벌 AI 기술력 현황 분석과 추진 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 AI 트렌드로 ‘에이전틱 AI’를 꼽은 그는 “17일 OpenAI는 ‘ChatGPT 에이전트’를 출시 했다”라며 “월급 대신 전기를 받는 AI 비서”라고 전했다.

ChatGPT 에이전트는 미국 Pro 요금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 중인 기능이다. 비전·추론 기능을 바탕으로 자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자료 검색, 식료품 주문, 식당·티켓예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정 이사는 이어 허깅페이스를 소개했다. 2016년 10대들을 위한 챗봇 서비스로 시작해, 현재는 많은 개발자가 사용하는 오픈소스 AI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2024년 전년 대비 86% 성장하며, 45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달성한 성공적인 스타트업”이라며 “플랫폼은 180만 개 이상의 AI 모델, 45만 개 이상의 데이터 셋, 60만 개 이상의 Spaces(애플리케이션 응용 프로그램) 규모로 ‘AI 백화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허깅페이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글로벌 AI 동향을 짚기도 했다. 먼저, AI 모델 분야에서는 텍스트 생성 모델이 여전히 압도적인 지배력을 가지고 있었다. 파라미터 크기는 400만 개에서 685억 개까지 다양했다. 이미지, 음향 등 여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modal) AI도 급부상하고 있다.

데이터셋 분야에서도 텍스트 데이터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250억 행을 보유한 초대규모 텍스트 데이터셋도 등장했다. 멀티모달 데이터 역시 늘어나고 있다. 또, 금융·법률·과학 같이 특정 분야 전문 지식으로 데이터셋이 확장되고 있으며, 추론 능력을 강화하는 데이터셋도 증가하는 추세다.

Spaces에서는 멀티모달 AI의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다. 텍스트를 기반으로 오디오와 비디오를 동시에 생성하기도 한다. 실시간 상호작용 기술도 향상 중이다. AI와 실시간 대화가 가능해, 이를 기반으로 번역·자막생성·콘텐츠 변환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K-AI 발전, 대기업·학계·커뮤니티 ‘트리플 트랙’으로
한국 AI 산업의 글로벌 위치도 진단했다. 정원훈 이사는 “글로벌 AI 기술력 순위에서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지만, 투자 규모 차이는 상당하다”라며 “‘글로벌 100대 AI 인재’에도 중국은 57명, 미국은 20명이 포함됐지만 한국은 1명뿐”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인재 부족뿐만 아니라 GPU를 비롯한 핵심 하드웨어 인프라 확충 등 기술격차 해소를 위한 과제가 산적해 있다”라고 지적했다.

반면, 우울한 소식만 전해진 건 아니었다. 그는 “2024년 12월 허깅페이스 TOP12에 한국 ‘ginipick’의 Spaces ‘Fluxllama’와 ‘Text3D’가 선정됐다”라며 “K-Pop, K-드라마에 이어 K-AI가 세계를 정복하는 순간이 곧 도래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했다.

한국 AI 발전을 위한 전략으로는 ‘트리플 트랙’ 전략을 제시했다. 삼성·네이버와 같은 대기업이 독자적인 AI 모델을 만들고, 학계가 AI 연구의 중심이 돼 고품질 데이터셋을 제공한다. 이렇게 마련된 환경을 통해 커뮤니티에서 자유롭게 슈퍼앱을 제작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 이사는 “기술이 아무리 빠르게 발전하더라도 사람 간의 협력은 여전히 중요하다”라며 “경쟁보다는 협력을 통해 진짜 혁신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K-AI 생태계②]에서 이어집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