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CCS사업이 한국에서 연착륙을 하기 위해서는 저장소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병엽 본부장은 최근 열린 CCS 관련 토론회의 발표자로 참석해 CCS 저장소의 확보가 중요한 이유와 이를 위한 정책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영국과 캐나다, 중국 등 해외의 CCS 저장소 탐사‧확보 사례를 공유한 김 본부장은 “저장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층의 면적과 두께, 공극률, 이산화탄소 밀도 등을 2단계에 걸쳐 평가한 뒤, 이를 기반으로 탐사시추 자료를 활용해 지질모델을 분석하는 과정이 수반된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의 설명에 따르면, 저장소 평가 단계는 최적분지 규모 평가→잠재지층 규모 평가 →유망구조 규모 평가→사업부지 규모 평가 등 총 4단계로 구성된다.
이 자리에서 국내 각 해역별 주요 저장 후보지에 대해 언급한 김 본부장은 특히 서해에 대해 “신규탐사자료 추가에 따라 잠재지층 규모, 유망구조 규모의 저장용량 증감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탐사시추를 통한 사업부지 규모 도출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탄소 중립을 위한 잰걸음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국내 이산화탄소 해양저장소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한 김 본부장은 “CCS는 NDC이행과 산업전환을 동시에 견인할 수 있는 도구인 만큼 명확한 규제 설계, 재원 동원력, 지역 수용성 등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 국가가 CCS 경쟁우위에 설 것”이라고 말했다.
상업규모 저장소 확보를 위한 국내해역 탐사 추진의 중요성을 언급한 김 본부장은 “기존의 추진 탐사 과제인 ‘대규모 이산화탄소 저장소 확보를 위한 기반조성 사업’이 지속돼야 한다”고 말한 뒤 “CCS는 민간 참여 탐사시장 형성의 주요 계기가 되는 동시에 CCS 관련 R&D의 재추진을 통한 인력양성 기회를 다시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그는 “탐사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신 기술을 이용한 탐사가 필요하다”며 “한반도 해역의 탐사자료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2천년대 이전 자료이기 때문에 유망구조 및 사업부지 규모 저장소 확보를 위해 단기간에 최대한 많은 최신 3D 탐사가 시급하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