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정부가 2035 NDC의 일환으로 무공해차의 비중을 2035년까지 최대 3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에 대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업계는 이에 대해 “업계의 현실을 반영해 속도를 조절해 달라”는 주장을 내세웠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하 조합)은 13일 서초동 자동차산업회관에서 업계 관계자 30명이 참석한 가운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송부문 설정 관련 자동차부품업계 성명서 발표’를 진행했다.
조합은 이날 발표된 성명서를 통해 ▲현실을 반영한 목표 설정 ▲내연기관 부품기업 존폐기로와 고용 위기 ▲HEV·e-fuel 등 다양한 감축수단의 병행을 통한 연착륙 필요성을 호소했다.
현실을 반영한 목표 설정에 대해 조합은 “정부가 제시한 2035년 무공해차 보급 목표(840만~980만 대, 비중 30~35%) 는 국내 산업과 시장 여건을 고려할 때 달성이 극히 어렵다”며 “현실적으로 550~650만 대(20% 내외) 수준으로 목표를 조정하는 것이 산업·고용 충격을 최소화하면서도 국제적 책무를 이행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언급했다.
내연기관 부품기업 생태계 존립과 고용위기에 대해 “내연기관 부품기업은 산업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축”이라며, “급격한 전환이 추진될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과 고용 불안이 가중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아울러, 전기차·수소차 중심의 획일적 전환 대신, HEV·PHEV·탄소중립연료(e-fuel) 등 다양한 기술대안 활용도 함께 성명서에서 제시됐다.
한편, 조합은 정부에 이러한 자신들의 의견을 담아 ▲미래차부품산업특별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관련 예산의 조속한 반영 ▲미래차 재편 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확대 및 요건 완화 ▲미래차부품 연구개발투자 R&D 자금 지원 확대 ▲생산기반 유지 및 디지털 전환 지원 등을 요구했다.
조합의 이택성 이사장은 “자동차산업은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수천 개의 2~3차 협력업체가 유기적으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몇 개의 업체에서 문제가 생기더라도 그 파급은 전체 산업과 전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크다”며 “NDC와 관련해서 목표나 취지 등 큰 틀에서는 우리도 정부와 궤를 같이하고 있지만, 속도에 있어서는 업계의 의견이나 현실이 충분히 반영되고 중지를 모으면서 좋은 해결책을 찾아내고 업계에서도 적극적으로 협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고 이번 성명서 발표의 의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