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내년도 바이오분야 연구개발 및 향후 방향 논의
이강은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내년도 바이오분야 연구개발 및 향후 방향 논의

바이오분야 연구개발(R&D) 투자계획, 석학 좌담회

기사입력 2014-11-18 18:21:0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7일 한림원 회관 제1 중회의실에서 바이오분야 석학들과 함께 ‘정부의 2015년도 바이오 연구개발(R&D) 예산투자’관련 석학 좌담회를 개최하고, 예산배분 결과의 설명과 향후 투자방향에 대한 조언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좌담회에는 김대경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생명복지전문위원장 (중앙대)을 비롯해, 한림원 정회원인 노정혜(서울대), 김현중(서울대), 고광호(한림원) 등 8인의 국내 바이오 분야 석학들이 참석했다.

정부는 이날 2015년도 국가 연구개발중 바이오 분야에 대해 9.8% 증가한 2조 1,362억원의 기술분야별, 부처별 주요 예산특징과 세부내역을 설명하고 석학들의 고견을 청취하기도 했다.

부처별로는 특히, 산업부(25.7%), 미래부(20.5%), 산림청(15.7%), 안전행정부(13.5%), 해수부(11.7%) 등이 정부의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투자를 강화했다.

중점투자별 특징으로는 먼저, 고령사회에 대비한 고령친화제품과 기후변화에 따른 신종 감염질환 진단․치료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을 확대했다.

이어 최근 세월호 사고를 비롯한 대형재난·재해 등 국민 건강 위협요인인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인터넷게임 중독 등 정신건강 증진 과 여성,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의 공공의료 분야에 투자를 대폭적으로 확대 했다.

다음으로 신의료기술 임상인프라, 첨단의료클러스터 지원에 대한 강화를 통해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성과의 조기 실용화 촉진에 지원토록 예산을 배분했다.

정부는 바이오분야가 국민건강 증진과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공공기술로서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한 투자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석학들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향후 투자방향 등에 반영할 계획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