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 등 1,600억 원 신규 지원
전기차서비스·수요관리 시장 등 에너지 신산업 기술개발, 인력양성 중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올해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 인력양성, 국제공동연구 등의 사업에 1,600억 원 규모를 신규 지원하기로 하고 그 지원대상과제를 공고했다.
올해 에너지기술 부문에서는 에너지 신산업 창출 등을 위한 기술개발에 1,404억 원, 융복합 인재양성에 107억 원, 국제공동연구 89억 원 등 1,600억 원의 신규 사업비를 포함해 총 7,983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신규사업 공고시기를 예년에 비해 2달 정도 앞당겨, 3대 사업에 대한 상반기 집행비율을 신규 지원 기준 전년 51% 대비 19%p 증가한 70.7%로 끌어올려, 기술개발(R&D)을 통한 내수 활성화를 기하고 청정·안전 중심의 사회친화형 공급 기술과, 에너지 고효율․저탄소 사회 구현을 위한 수요기술을 중점 지원하기로 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확산, 기저발전원의 고효율·친환경화를 통한 청정에너지 공급 확대를 위해 36과제(품목지정 12과제 포함), 597억 원, ICT 기반 신산업 창출, 분산전원 강화, 산업계 배출권거래제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에 31과제(품목지정 19과제 포함), 412억 원을 지원한다.
특히, 지금까지의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에너지산업 기술개발이 비용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미래시장을 선도할 투자라는 관점에서 에너지신산업 창출분야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또한, 에너지기술개발의 창의․도전성, 평가 내실화를 위해 지난해 발표한 기술개발(R&D) 제도 혁신방안을 반영했고, 특히, 과제 신청 단계의 공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에 역점을 뒀다.
제시된 품목(기술개발 분야) 내에서 목표기술 수준 또는 목표 시장만 제시하고 기술개발 방법론은 민간의 자유 기획에 맡기는 방식으로 민간의 창의적 과제를 적극 지원키로 했다.
자유공모·품목지정형 과제에 대해 아이디어의 창의성을 평가하는 개념평가를 도입하고, 사전 서면검토를 통해 선정평가의 내실화를 추진하는 한편, 공고후 사업계획서 제출까지의 기간을 종전보다 2배 가까이 늘려 중소중견기업을 비롯한 기술개발 수행기관들이 충분히 준비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사업공고 결과 단독응모한 과제(지정공모, 품목지정형)에 대해서는 동일 제안요청서(RFP)로 재공고 할 수 있도록 해 과제간 경쟁을 적극 유도키로 했다.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은 올해 107억 원 규모의 신규과제를 기초트랙(학부과정), 고급트랙(석·박사과정) 및 국제에너지인력벨트구축 사업 등에 지원할 방침이다.
에너지기술분야 학부인력을 양성하는 ‘기초트랙’은 청정화력 등 7개분야(자유공모) 대상으로 14.2억 원을 지원하고, 석·박사 과정의 ‘고급트랙’은 에너지신산업 분야 6개과제와 원자력 분야 1개과제를 지정공모(약 28억 원)하는 한편, 이외 7개 분야는 자유공모(약 28억 원)를 통해 56.5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는 지난해 보다 ‘R&D 프로젝트 기반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확대 해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와 애로기술 해결에 기여토록 할 예정이다.
상반기에는 우선 세부기술분야를 지정한 공모 과제(39.5억 원)를 지원하고, 상반기중 상대 협력국과의 공동펀딩·R&D협력분야 발굴 등에 관한 MOU 등을 통해 국제공동연구 기반을 조성한 후 공동기획을 거쳐 하반기에 49.5억 원을 집행한다.
상반기 ‘선진기술획득형’ 5개분야 34.5억 원과 ‘해외시장진출형’ 2개분야(1개 과제 선정) 5억 원 지원 예정에 있다.
기존 국제공동연구에서는 협력국가를 특정국가로 사전에 지정했으나, 올해부터는 협력국이 특정되는 공동펀딩 이외의 과제에 있어 ‘선진기술획득형’은 협력국 지정을 폐지하고 ‘해외시장진출형’은 협력국을 기존 1개 국가에서 다수국가로 확대해 개방성을 강화키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