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블루오션 中서비스시장 선점하라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블루오션 中서비스시장 선점하라

한·중 간 서비스교역 규모 362억 달러

기사입력 2015-08-10 11:59:0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블루오션 中서비스시장 선점하라


[산업일보]
한국의 서비스 산업은 작년기준 명목 GDP의 59.4%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 또한 안정적 경제성장과 산업간 균형을 위해 서비스산업을 새로운 경제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2014년 기준 한·중 간 서비스교역 규모는 362억 달러로 75억 달러 규모의 對중국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한·중 FTA시대에 대비해 중국 서비스시장에 대해 사전정보를 수집하고 선제적인 준비를 한다면 중국의 서비스시장은 우리 서비스 수출기업들의 블루오션이 될 수 있다. 특히, 문화(엔터테인먼트), ICT, 의료 등 서비스 분야는 한·중 FTA 협정에 따른 개방으로 비즈니스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인호)는 6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중국 서비스·문화산업 진출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중국 서비스시장 진출 희망 기업 임직원 100여명을 대상으로 ▲서비스분야 한·중 FTA 협정 ▲중국 서비스시장 진출 방안 ▲중국 문화산업(엔터테인먼트 등) 진출방안 주제발표를 통해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무협은 이날 세미나에 이어 13일에는 '중국 ICT·환경산업 진출방안 세미나', 19일 '중국 의료시장 진출방안 세미나'를 시리즈로 개최해 서비스 각 분야별 진출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세미나에 강사로 참가한 CJ E&M 김성훈 자문위원은 “중국은 2014년에 문화 3.0시대 진입을 선포해 문화산업을 지주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며, 뮤지컬·영화·예능프로그램 등 국내의 다양한 문화산업의 중국 진출 성공사례를 언급하면서, ▲컨텐츠의 현지 제작 ▲연관 산업과의 연계 진출 ▲아시아 및 세계 동반 진출 등에 대해 조언했다. 또한 “한국의 컨텐츠 제작 역량과 중국의 시장 및 정부정책을 고려하고 장기적인 현지진출 안목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무협 장호근 해외마케팅지원본부장은 "금년 6월 한-중 FTA가 정식 서명돼 양국은 상품 교역 뿐 아니라, 서비스, 투자 등의 여러 가지 분야에서도 더욱 폭넓은 경제협력의 장을 열게 됐다”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지속적인 중국 진출 노력을 당부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