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장용 5천882만㎡ 등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251.6㎢
이종수 기자|jslee0505@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공장용 5천882만㎡ 등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251.6㎢

지난해 말 대비 1.2%(294만㎡) 증가, 미국→중국→일본 순

기사입력 2020-12-08 17:39:0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공장용 5천882만㎡ 등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251.6㎢

[산업일보]
올해 상반기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지난해 말 대비 1.2%(294만㎡) 증가한 251.6㎢(2억5천161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 국토면적(10만401㎢)의 0.25% 수준이다.

금액으로는 31조 2천145억 원(공시지가 기준)으로 2019년 말 대비 1.4% 증가했다.

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외국인 국내 토지보유는 2014년~2015년 사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6년부터 증가율이 크게 둔화하면서 안정화됐다.

주요 증가 원인은 미국, 캐나다 등 국적자의 임야 등에 대한 증여․상속․국적변경에 의한 취득(173만㎡)이 상당 부분 차지했다.

미국은 2019년말 대비 1.4% 증가한 1억3천161만㎡로, 외국인 전체 보유면적의 52.3% 차지하고 있다. 그 외 중국 7.9%, 일본 7.3%, 유럽 7.2% 순이고, 나머지 국가가 25.3%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외국인이 가장 많은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다로, 4천513만㎡(전체의 17.9%) 규모다.

전남 3천872만㎡(15.4%), 경북 3천647만㎡(14.5%), 강원 2천253만㎡(9.0%)제주 2천191만㎡(8.7%) 순으로 보유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임야·농지 등이 1억 6천632만㎡(66.1%)으로 가장 많고, 공장용 5천882만㎡(23.4%), 레저용 1천190만㎡(4.7%), 주거용 1천54만㎡(4.2%), 상업용 402만㎡(1.6%) 순이다.

외국국적 교포는 1억 4천61만㎡(55.9%)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합작법인 7천120만㎡(28.3%), 순수외국법인 1천884만㎡(7.5%), 순수외국인 2천41만㎡(8.1%), 정부․단체 55만㎡(0.2%) 순으로 보유하고 있다.됐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부동산부 이종수 기자입니다. 지식산업센터, 공구유통상가, 공장, 토지 등 산업 부동산 분야의 알토란 같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