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로봇 기반의 산업 혁신으로 스마트 제조 가속화](http://pimg.daara.co.kr/kidd/photo/2022/03/08/thumbs/thumb_520390_1646728125_70.jpg)
![[카드뉴스] 로봇 기반의 산업 혁신으로 스마트 제조 가속화](http://pimg.daara.co.kr/kidd/photo/2022/03/08/thumbs/thumb_520390_1646728132_44.jpg)
![[카드뉴스] 로봇 기반의 산업 혁신으로 스마트 제조 가속화](http://pimg.daara.co.kr/kidd/photo/2022/03/08/thumbs/thumb_520390_1646728135_90.jpg)
![[카드뉴스] 로봇 기반의 산업 혁신으로 스마트 제조 가속화](http://pimg.daara.co.kr/kidd/photo/2022/03/08/thumbs/thumb_520390_1646728140_71.jpg)
![[카드뉴스] 로봇 기반의 산업 혁신으로 스마트 제조 가속화](http://pimg.daara.co.kr/kidd/photo/2022/03/08/thumbs/thumb_520390_1646728147_38.jpg)
![[카드뉴스] 로봇 기반의 산업 혁신으로 스마트 제조 가속화](http://pimg.daara.co.kr/kidd/photo/2022/03/08/thumbs/thumb_520390_1646728149_75.jpg)
![[카드뉴스] 로봇 기반의 산업 혁신으로 스마트 제조 가속화](http://pimg.daara.co.kr/kidd/photo/2022/03/08/thumbs/thumb_520390_1646728277_52.jpeg)
[산업일보]
한국의 로봇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역시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이 지난해 실시한 ‘2020 로봇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국내 로봇 시장 매출액은 5조5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능형 로봇법 제5조를 기반으로 최근 ‘2022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정부의 주요 계획은 로봇 활용 표준공정모델을 추가 개발하고 기(旣)개발 모델의 보급에 주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김애경 산업부 기계항공로봇과 사무관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뿌리‧섬유‧식음료 등 기존 3대 제조업뿐 아니라 항공, 조선, 바이오‧화학 등을 중심으로 표준공정모델 개발을 확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기존 개발 모델에 대해 “제조로봇 220대를 현장에서 실증하고, 수요기업에 로봇활용 공정 설계를 지원해 로봇 타당성 검토 및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민간의 자생적 제조로봇 도입 확산을 위해 정부는 ‘DB 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로봇 리퍼브(REFUB) 센터도 구축할 계획입니다. DB 통합관리시스템은 표준공정모델 매뉴얼, 영상 등 맞춤 공정 검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로봇 리퍼브 센터는 중고 로봇 재제조를 위한 기술개발, 인증‧검사, 직거래시스템 등을 지원하는 곳입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