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 절반 이상이 한일 갈등을 해소하고 경제협력 모색을 기대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설문조사 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7월 27일부터 8월 2일까지 전국 30인 이상 기업 207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일관계, 경제협력 전망과 과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지난 17일 발표했다. 대상 기업 중 103개사는 일본 지분이 30% 이상인 곳이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 57%는 한일 갈등 해소와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양국 간 경제협력이 필요한 분야(복수응답)에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등을 통한 무역 활성화’(53.4%)를 꼽았다.
'신산업 및 첨단기술 교류'(35.8%), '글로벌 공급망 이슈 대응'(23.3%), '대외 경제위기 대비'(22.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해 경총은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RCEP와 IPEF 등 대규모 다자간 무역협정이 출범하는 상황에서 향후 양국 간 무역을 더욱 활성화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일 관계 개선이 기업 투자와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도 나왔다. 응답 기업 37.7%가 관계 개선으로 향후 투자와 고용 증가에 도움이 될것이라 응답했다.
양국의 관계가 악화하면서 겪은 피해(복수응답)로는 ‘매출 감소’가 14.5%로 1위였고, 나머지는 ‘소재‧부품‧장비 등 수급 차질’(13.5%), ‘인력 왕래 어려움’(11.6%), ‘수출입 통관 지연 등 물류 차질’(9.2%), ‘브랜드 및 기업 이미지 악화’(4.8%), ‘경영 및 투자 환경 예측 가능성 저하’(4.3%) 순이었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복수응답)로는 '일본 수출규제 조치 해제 등 무역분쟁 해결' (35.9%), '다자간 무역협정 참여를 통한 무역 활성화' (32.5%), '정부 간 대화와 소통 강화' (31.1%) 등으로 집계됐다.
배정연 국제협력팀장은 ‘한일 관계 악화로 매출감소, 수출입 통관지연 등 기업 활동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지난 5월 대통령 취임식에 일본 대표단이 참석하는 등 한일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