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신문협회(회장 김기정)는 24일 성명을 통해 “재벌의 이익을 대변하는 한국광고주협회가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인신윤위)의 거버넌스를 장악한 현 구조는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비상식적 형태”라며 “광고주협회는 즉각 손을 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신협은 “문화체육관광부 중재로 지난 7월부터 두 달간 인신윤위와 6차례 협의를 진행했지만, 광고주협회가 거버넌스를 장악한 구조에서는 어떠한 통합 방안도 무의미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인신윤위는 인터넷신문 자율심의를 명분으로 매년 8억 원가량의 정부 예산을 지원받는다. 그러나 현재 회원구성은 광고주협회, 인터넷기업협회, 언론학회 등 3개 법인에 한정돼 있으며, 실제 뉴스 생산 단체인 인신협은 빠져 있다. 당초 인신협이 주축이었으나, 2023년 8월 광고주협회가 정관을 개정해 거버넌스를 장악하면서 인신협이 탈퇴했고, 그 자리를 언론학회가 대신했다.
인신협은 “재벌기업 홍보임원 출신들로 구성된 광고주협회가 언론 자율심의 기구 중심에 있다는 사실 자체가 자율성 훼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삼성그룹 홍보임원 출신인 노승만 광고주협회장이 인신윤위뿐 아니라 언론진흥재단 기금관리위원으로도 활동하는 데 대해 “언론진흥기금 배분이 언론 길들이기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의심을 살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광고주협회가 다수 구성원 동의 없이 언론 자율성을 훼손하는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면 그 경위를 밝혀야 한다”며 “정부 지원금은 언론 자율성 확보를 위한 것이지 광고주나 포털의 영향력 확대 수단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인신협은 2023년 인신윤위를 탈퇴한 뒤 2024년 말 별도 자율심의기구를 출범했다. 문체부는 지난 7월 인신협 자율심의기구와 인신윤위의 통합을 추진했으나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인신협은 “언론 4단체의 일원으로서 윤리 확립에 앞장설 것”이라며 “정부도 인터넷언론을 대표하는 인신협에 힘을 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