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검증된 의학 지식을 토대로 의료진의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환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 계획을 돕는 AI 솔루션이 나왔다.
온즈오운은 최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AI Festa 2025(이하 AI 페스타)’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통합 서비스 ‘ONZSOAP(온즈솝)’을 공개했다. 이 서비스는 치료사의 임상 업무 전 과정을 AI로 연결해 효율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온즈솝은 환자의 증상 정보를 AI 챗봇이 구조화된 방식으로 수집하고, 표준 SOAP 형식의 노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의무기록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 SOAP는 주관적(Subjective), 객관적(Objective), 평가(Assessment), 계획(Plan) 네 요소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의료진 간 원활한 소통과 환자 관리에 필요한 근거 자료가 된다.
하지만 의료 현장에서는 그간 병원·의료인별로 양식이 달라 체계성이 부족했고, 진단 중심으로 작성돼 치료사의 임상 데이터 표준화에 한계가 있었다. 온즈솝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STT) 기능, 예시 답변 기능, 관절 가동범위 자동 기록, 영상 검사 AI 해석 등을 결합했다. 이를 통해 주관적 증상부터 객관적 검사 소견까지 빠르고 정밀하게 기록할 수 있다.
AI 챗봇이 환자 정보를 정리하면, 이를 바탕으로 검증된 의학 지식과 결합해 표준화된 SOAP 보고서를 자동 생성한다. 보고서는 PDF로 저장·공유할 수 있어 전문가 커뮤니티 내 사례 공유와 네트워킹에도 활용할 수 있다.
온즈오운 관계자는 “보험금 허위 청구 1위가 도수치료라는 조사 결과가 있다”며 “온즈솝은 의무기록 규격화를 통해 과다 청구를 예방하고 치료 현황을 적절히 관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온즈오운은 내년 상반기 정식 출시를 목표로 온즈솝 서비스 고도화를 진행 중이다.
한편, AI 기반 산업 융합과 최신 트렌드를 조망한 ‘AI 페스타’는 2일 막을 내렸다.